- 영문명
- Different Views, Shared Goals: An IPA Study of Perceptions in School-Community Linkage Project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지현(Jihyun Kim) 허준(Joon Heo) 조현주(Hyunjoo Cho)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3호, 129~15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학교-지역사회 연계의 본질적 요소에 대한 참여 주체들의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업 참여자들이 생각하는 마을교육공동체 구성요소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인식 격차를 파악하고, 참여 역할(교직원, 사업담당자, 지역관계자, 학부모, 활동가)에 따른인식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개선 우선 과제를 도출하였다. 연구 방법: A도 지역 사업 참여자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t-검정, IPA,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연계 요소의 중요도에 비해실행도를 유의미하게 낮게 평가했다. IPA 분석 결과, ‘공감대 형성’, ‘소통 활성화’, ‘자원 확보’ 등이 시급한 개선 과제로 나타났다. 특히, 현장 활동가 그룹은 행정지원및소통의실행수준을가장낮게평가하는등역할별로유의미한인식 차이가 존재했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는 참여주체들이역할에따라인식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인식 격차 해소와 지속가능한 학습생태계 구축을 위해 주체 간 소통 플랫폼강화, 현장 활동가의 행위자성 존중, 수평적 거버넌스 설계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nalyzes stakeholder perceptions of school-community linkage elements to identify improvement priorities based on the gap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performance. Method: A survey of 173 participants across five roles was analyzed using paired t-test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one-way ANOVA. Results: A significant gap was found between the high importance and low performance of most elements. IPA identified consensus-building, communication, and resource security as key priorities. ANOVA revealed significant perceptual differences by role, with activists rating the performance of support and communication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takeholders perceive linkage project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roles. Bridging these perceptual gaps through targeted strategies and strengthening horizontal governance is crucial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commun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