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Problem-based Learning in Domestic Elementary Educatio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이승민(Seung-Min Lee) 김영환(Young-Hwan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7권 제3호, 83~10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한국 초등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PBL) 연구 동향을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8년부터 2025년까지의 학술 및 학위논문 165편에서 825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빈도, 시기별, 중심성 및 클러스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창의성’, ‘학업성취’, ‘자기주도학습’ 등이 핵심 키워드로 확인되었으며, 연구의 초점은 시기별로구성주의에서 창의성, 스마트교육을 거쳐 인공지능 및 컴퓨팅 사고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네트워크는 ‘교육성과 중심’과 ‘교수학습방법 중심’의 두 개 클러스터로 군집화되었으며, 대다수연구(76.4%)가 비판적 관점이 부족한 ‘적용-수용’ 영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논의: 초등 PBL 연구가 이론적 탐구보다 실용적 적용에 치중하며, 교육 정책 변화를 선도하기보다 추종하는 경향이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비판적 접근을 강화하고 다양한 관점을 통합하며, 국제적 동향에기반한개념적확장을모색할필요가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mprehensively analyze research trends on Problem-Based Learning (PBL) in Korean elementary educat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alyzed 825 keywords from 165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1998 and 2025 using frequency, periodic, centrality, and cluster analysis. Results: Core keywords included ‘creativity’,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The research focus shifted over time from constructivism toward AI and computational thinking. The network formed two clusters— ‘learning outcomes’ and ‘teaching methods’—with a majority of studies (76.4%) focusing on practical application rather than critical inquiry. Conclusion: Research on PBL in Korean elementary education has prioritized practical application over theoretical exploration, tending to follow rather than lead policy changes. Future studies require a more critical approach and conceptual expansion based on diverse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