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ducing Embodied Cognition via Textile Spatial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윤현지(Hyun Jee Yun) 이재규(Jae Gyu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841~85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 발전으로 인한 시각 중심으로 편중된 현대 공간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체화인지 이론을 기반으로 텍스타일이 신체 기반의 공간 경험을 어떻게 유도하는지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텍스타일의 물리적 특성과 체화인지 관점의 공간 해석 요소를 연결하는 분석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다섯 개의 공간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텍스타일은 사용자의 다감각을 자극하고 공간의 경계를 유연하게 조절함으로써 신체와 공간 간의 동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능동적 매개체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텍스타일의 복합적인 특성은 사용자가 공간을 다각적으로 인지하게 함으로써 인지적 다양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텍스타일을 활용한 다감각적이고 상호작용적인 공간 디자인 가능성을 체화인지적 관점에서 구체화하였으며, 공간이 사용자의 신체와 인지를 구성하는 능동적 환경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extiles induce body-based spatial experiences grounded in embodied cognition theory, aiming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temporary spatial design, which is predominantly visual due to advances in digital technology and media. To this end, an analytical framework was developed link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extiles with spatial interpretation el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embodied cognition, and five spatial design ca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confirm that textiles function as active mediators that stimulate users' multisensory perception and flexibly regulate spatial boundaries, thereby facilitating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the body and space. In particular,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textiles were found to provide cognitive diversity by enabling users to perceive space from multiple perspective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cretizes the potential of multisensory and interactive spatial design through textiles from an embodied cognition perspective, suggesting that space can be interpreted as an active environment that constructs users' bodies and cogni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체화인지와 텍스타일 공간 특성 도출
4. 작품 사례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