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속가능한 브랜드 경험을 위한 디자인 요소의 우선순위 분석 - 가변적 아이덴티티와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AHP 기반 전문가·학생 집단 비교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Prioritization of Design Elements for Sustainable Brand Experience : An AHP-Based Comparative Study between Experts and Students Focusing on Flexible Identity and Inclusive Design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김미경(Mi Kyung Kim) 손원준(Won Jun Son)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797~81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브랜드 경험 디자인 구축을 위한 핵심 요소로서 인클루시브 디자인, 가변적 아이덴티티, 지속가능한 디자인, 브랜드 경험 디자인, 브랜드 성과 지표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디자인 전문가 20명과 디자인 전공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반의 설문을 실시하여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병행하였으며,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와 평가 요소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가와 학생 집단 모두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평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가변적 아이덴티티를 중시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브랜드의 접근성과 포용성을 강조한 반면, 학생 집단은 창의적이고 유연한 브랜드 표현을 위한 가변적 아이덴티티를 상대적으로 더 중요시했다. 두 집단 모두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장기적 경쟁력을 위한 필수 요소로 인식하였으며, 브랜드 경험 디자인과 브랜드 성과 지표는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를 보였다. 또한, 정성적 분석을 통해 가변적 아이덴티티와 인클루시브 디자인 간의 상호보완적 관계가 확인되어, 두 요소를 통합한 전략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브랜드 경험 디자인 전략 수립을 위한 실질적 우선순위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향후 다양한 산업 분야와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추가적 연구와 실증적 검증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ve priorities of key design elements essential for sustainable brand experiences, focusing on Inclusive Design, Flexible Identity, Sustainable Design, Brand Experience Design, and Brand Performance Indicators. Utilizing an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based survey with 20 professional design experts and 17 design students, this research perform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o explore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interrelationships among design elements. Results revealed that both groups identified Inclusive Design as the most critical factor, followed by Flexible Identity. Experts highlighted Inclusive Design for its pivotal role in accessibility and inclusivity, whereas students emphasized Flexible Identity, stressing creative and flexible brand expression aligned with contemporary trends. Both groups acknowledged Sustainable Design as essential for long-term brand competitiveness, while Brand Experience Design and Brand Performance Indicators were relatively lower in priority. Qualitative analysis confirmed a complementary, synergistic relationship between Flexible Identity and Inclusive Design, suggesting an integrated strategic approach combining both elements. This study provides clear priorities and strategic insights for implementing sustainable brand experience design. Future research should expand this framework through additional empirical validations across diverse industries and stakeholde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설계 및 AHP 기반 실증분석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경(Mi Kyung Kim),손원준(Won Jun Son). (2025).지속가능한 브랜드 경험을 위한 디자인 요소의 우선순위 분석 - 가변적 아이덴티티와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AHP 기반 전문가·학생 집단 비교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10 (3), 797-810

MLA

김미경(Mi Kyung Kim),손원준(Won Jun Son). "지속가능한 브랜드 경험을 위한 디자인 요소의 우선순위 분석 - 가변적 아이덴티티와 인클루시브 디자인을 중심으로 한 AHP 기반 전문가·학생 집단 비교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10.3(2025): 797-81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