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Z세대 소비자의 실버 주얼리 감성 디자인 지각된 가치와 행동 분석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Perceived Value and Behavior of Chinese Generation Z Consumers Toward Emotional Design in Silver Jewelry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진혜(Hui Chen) 마소봉(Xiao Peng Ma) 이성원(Sung Won Lee)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744~759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Z세대가 점차 중국 실버 주얼리 소비의 주력 집단으로 부상함에 따라, 이들의 소비행동은 감정적 동인과 정체성 지향적 특성을 동시에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전환은 디자인 및 소비행동 연구에 새로운 문제의식을 제기할 뿐만 아니라 실버 주얼리 브랜드 발전에도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Z세대 실버 주얼리 소비에서의 감정 및 디자인 주도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500부의 유효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각된 가치(perceived value, pv), 감성적 디자인 특성(emotional design features, edf), 시각적 기호 가치(visual symbolic value, vsv), 문화적 정체성(cultural identity, ci)을 포함하는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구축하고, 감정적 애착(emotional attachment, ea)과 구매의도(purchase intention, pi)를 결과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PV, EDF, VSV 모두 EA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EA는 디자인 인식과 구매의도 간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CI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Z세대 특성(ZG)은 PI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인지–감정–행동’(cognition–affect–behavior)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Z세대 실버 주얼리 소비의 감정적 동인 메커니즘을 규명하였으며, 브랜드가 기호적 가치와 문화적 공명을 토대로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As Generation Z increasingly emerges as the main consumer group for silver jewelry in China, their consumption behavior demonstrates both emotion-driven and identity-oriented characteristics. This shift not only raises new issues for research on design and consumer behavior but also provides important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silver jewelry brands.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aims to elucidate the emotion- and design-driven mechanisms underlying silver jewelry consumption among Chinese Generation Z consumers. Based on 500 valid survey respon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as constructed, incorporating perceived value (PV), emotional design features (EDF), visual symbolic value (VSV), and cultural identity (CI), with emotional attachment (EA) and purchase intention (PI) specified as outcome variabl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PV, EDF, and VSV all exert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A, and that EA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perception and PI. In contrast, the moderating effect of CI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Generation Z characteristics (ZG) were found to have a direct influence on PI. In sum, this study, grounded in the cognition–affect–behavior framework, identifies the emotion-driven mechanisms of silver jewelry consumption among Generation Z in China, and provide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brands in developing design and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symbolic value and cultural resonanc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혜(Hui Chen),마소봉(Xiao Peng Ma),이성원(Sung Won Lee). (2025).중국 Z세대 소비자의 실버 주얼리 감성 디자인 지각된 가치와 행동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10 (3), 744-759

MLA

진혜(Hui Chen),마소봉(Xiao Peng Ma),이성원(Sung Won Lee). "중국 Z세대 소비자의 실버 주얼리 감성 디자인 지각된 가치와 행동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10.3(2025): 744-75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