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haracter Design Utilizing Traditional Costumes : Focusing on the Clothing and Attire of the Joseon Dynasty in Jongno-gu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김세웅(Se Woong Kim) 원종욱(Jong Wook Wo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722~731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전통 복식을 시각적 기초로 하여, 지역 문화콘텐츠로 활용 가능한 관광·홍보용 캐릭터디자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시대 복식은 정치·사회적 위계와 상징 체계를 담고 있으며, 그 시각적 요소는 현대 디자인의 재해석을 통해 새로운 문화상품으로 확장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 대표 복식 유형인 군영(무관), 문관, 왕실 인물, 기타 백성들의 복장을 중심으로 캐릭터군을 설정하고, 이들의 복식 구성요소(형태, 문양, 색채, 장신구)를 캐릭터일러스트로 재구성하였다. 연구는 선행사례 분석, 최신 캐릭터디자인 트렌드 조사, 사용자 및 이해관계자 대상 설문 및 인터뷰를 바탕으로 디자인 방향성을 도출하였으며, 캐릭터 시안은 SD 비례(약 1:3.5), 오방색 기반의 색채계획, 상징 문양의 벡터화, 계열별 스타일 일관성을 특징으로 한다. 개발된 캐릭터는 관광기념품, 문화행사 홍보물, 디지털 콘텐츠로 확장 가능한 OSMU(One Source Multi Use) 전략에 부합되도록 설정하였으며, 지역에 따라 조합·활용 가능한 범용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문화의 시각적 계승과 현대적 소통을 연결하는 디자인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지역 문화브랜딩과 관광 콘텐츠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character designs for tourism and promotional use by reinterpreting the symbolic and structural elements of traditional Korean clothing and historical figures from the Joseon Dynasty. Joseon-era attire served not only as clothing but also as a visual system encoding social hierarchy, political authority, and cultural identity. Recognizing its symbolic potential, this study constructs a character series based on three primary archetypes—military officers, civil officials, and royal figures—and redesigns their traditional costumes (silhouettes, colors, patterns, accessories) through contemporary visual principles. The research methodology integrates precedent case analysis, current character design trend studies, and user-centered evaluations including surveys and interviews with stakeholders. The resulting character designs employ SD (super-deformed) proportions (approx. 1:3.5), a color scheme derived from traditional Obangsaek, and vectorized motifs to ensure clarity, versatility, and symbolic consistency across character groups. These designs are optimized for OSMU (One Source Multi Use) application in various formats, including cultural souvenirs, festival branding, public visuals, and digital media such as AR content.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a specific region, the characters are designed to be culturally adaptable and applicable across multiple local contex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regional identity and cultural communication by presenting a scalable design model rooted in traditional symbolism and heritage visualiz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캐릭터디자인 개발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