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통 꼭두를 소재로한 시각콘텐츠화 연구 - 그래픽 및 캐릭터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Visual Content Utilizing Traditional Kkokdu : Focusing on Graphic and Character Design Development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조한주(Hanjoo Jho) 김세웅(Se Woo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711~72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전통 장례문화 속 꼭두의 조형성과 상징성을 바탕으로, 원형의 비례와 색채, 형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그래픽 및 캐릭터 디자인의 시각콘텐츠화 전략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꼭두는 상여 행렬에서 망자를 인도하고 산 자를 위로하는 존재로서, 예술적·정신적 가치와 함께 독창적인 시각언어를 형성해왔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그 의미는 점차 희미해지고 있어, 이를 문화콘텐츠 자원으로 발전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다. 연구는 먼저 꼭두와 관련된 상여, 봉황, 용 등의 전통 도상 요소를 고찰하고, 그 형태·색채·문양을 분석하여 시각적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후 이를 현대 디자인 원리와 결합해 전통적 비례와 색채를 존중하면서도 단순화·세련화된 그래픽과 캐릭터 시안을 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지나친 변형이나 왜곡을 배제하고, 원형이 가진 장식성과 상징성을 현대적으로 표현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개발된 그래픽과 캐릭터는 전시·박물관 콘텐츠, 관광 기념품, 문화상품 디자인, 디지털 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각콘텐츠 모델로 제시된다. 본 연구는 전통적 조형미를 보존하면서도 현대적 친화성을 확보한 디자인 접근을 통해, 한국 전통문화의 지속 가능한 시각콘텐츠화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전통과 현대, 아날로그와 디지털을 연결하는 융합적 디자인 모델을 제안함으로써 학문적·실무적 기여를 도모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visual content strategy for graphic and character design that reinterprets the formative and symbolic qualities of the traditional Kkokdu while preserving its original proportions, colors, and forms. Traditionally placed on funeral biers, the Kkokdu guided the deceased and consoled the living, embodying artistic, spiritual, and cultural significance. Yet in modern society, its meaning is fading, creating a need to transform it into a sustainable cultural resource. The research analyzed iconographic elements such as funeral motifs, phoenixes, and dragons, extracting forms, colors, and patterns as design components. These were restructured into simplified and refined graphics and characters that respect traditional aesthetics while adapting to modern contexts. The resulting designs are proposed as a visual content model applicable to exhibitions, museum displays, tourism products, cultural goods, and digital media. This approach highlights the potential of Kkokdu as a sustainable cultural asset and suggests a convergent design model that connects tradition with modernity, and analog heritage with the digital environmen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제작 프로세스
4. 꼭두 그래픽 및 캐릭터 개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한주(Hanjoo Jho),김세웅(Se Woong Kim). (2025).전통 꼭두를 소재로한 시각콘텐츠화 연구 - 그래픽 및 캐릭터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 (3), 711-721

MLA

조한주(Hanjoo Jho),김세웅(Se Woong Kim). "전통 꼭두를 소재로한 시각콘텐츠화 연구 - 그래픽 및 캐릭터 디자인 개발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3(2025): 711-72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