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the Cultural Preservation and Development of Industrial Heritage Based on New Digital Media Technology : focusing on Modern Iconic Industrial Heritage Cases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양자한(Zi Han Yang) 강민선(Min Sun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510~520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시대의 발전과 함께 산업유산의 문화 보존과 발전은 중요한 과제로 부각 되었으며,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 기술은 점차 실천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 기술 하에서의 산업유산을 핵심 대상으로 삼아, 산업유산의 문화 보존과 디지털 미디어 기술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양자 간의 연관성을 규명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디지털 미디어의 세 가지 핵심 특성과 산업유산 문화의 다섯 가지 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산업유산이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 맥락 속에서 드러내는 네 가지 문화 속성, 즉 역사적 기억성, 문화적 정체성, 교육적 전파성, 내용적 참여성을 종합하였다. 이러한 속성에 기반하여 분석 틀을 구축하고, 테이트 모던 미술관 등 세 개의 대표적 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가 산업유산 문화의 쇠퇴를 극복하기 위한 효과적 수단일 뿐 아니라 문화 보존과 발전을 촉진하는 필연적 경향임을 논증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산업유산의 보존과 재생을 위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디지털 미디어가 문화유산 분야에서 심 화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dustrial heritage preservation has become a key issue, and new digital media technologies provide innovative solutions. This study reviews theories of industrial heritage and digital media, identifying their interrelationship in cultural conservation. Three cor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and five attributes of industrial heritage culture are summarized, leading to four cultural properties under the digital paradigm: historical memory, cultural identity, educational dissemination, and participatory engagement. Based on this framework, case studies such as Tate Modern demonstrate that digital media not only counter the decline of industrial heritage culture but also drive its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tudy offers new perspectives for heritage conservation and highlights the growing role of digital technologies in cultural heritage practic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산업유산의 문화 보존과 발전
4. 사례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