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바이오필릭 개념의 공공디자인법 적용에 관한 기초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ublic Design Law to the Components of Biophilic Cities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장영호(Young Ho Jang)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451~460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시 환경에서 바이오필릭 설계 원칙을 공공디자인과 연계하여 적용하는 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도시 환경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고, 해외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설계 전략과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사례 분석을 병행하였으며, 국내외 학술 논문, 정책 보고서, 법령 및 설계 지침서를 검토하고, 실제 설계 사례를 분석하여 설계 요소, 공간 배치, 시민 참여, 법·제도적 지원, 생태적 지속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국내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바이오필릭 디자인은 도시민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지속가능성과 생태적 회복력을 강화하는 공공디자인 전략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도시 환경에서 바이오필릭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정책적·설계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도시 계획과 공공디자인 발전에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approaches for integrating biophilic design principles into public design within urban environments. The primary objective is to analyze the applicability of biophilic design in domestic urban settings and to derive effective design strategi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through comparisons with international cases. The research methodology combines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nalysis, examining academic papers, policy reports, legal frameworks, and design guidelines from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urces. Real-world design cases were also analyzed with a focus on design elements, spatial arrangements, citizen participation, regulatory support,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to assess their potential application in domestic contex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pplication of biophilic principles to public design can contribute to citizens’ emotional well-being, the improvement of ecological environments, and the enhancement of urban space sustainability.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policy and design insights for systematically applying biophilic design in domestic urban environments and is expected to make a practical contribution to future urban planning and the advancement of public desig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공공디자인법 적용 방향 고찰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영호(Young Ho Jang). (2025).바이오필릭 개념의 공공디자인법 적용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10 (3), 451-460

MLA

장영호(Young Ho Jang). "바이오필릭 개념의 공공디자인법 적용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 10.3(2025): 451-46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