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dvanced UX Framework for NFT Distribution Platforms Grounded in Art Valuatio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남현우(Hyun Woo Nam)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437~45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NFT 미술 플랫폼이 정량적/정성적 NFT 미술작품의 가치산정과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서비스 요구사항에 기반한 UX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 것이 목표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외 NFT 미술 플랫폼의 기능적 조사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미술작가, 학예사, 아트딜러, 컬렉터 등의 이해관계자별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둘째, 정량적 평가를 위한 핵심 및 성공요소를 델파이, AHP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정량적 가치평가 모델을 제안하였다. 셋째, NFT 플랫폼 서비스 시나리오를 조사 분석하여, 실효성에 기반한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UX 프레임워크에 필요한 큐레이션 모델과 개인화된 화면설계 가이드라인 요소 등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기대성과는 정량 평가 기반하의 UX 설계를 통해 블록체인 기반하의 NFT 미술작품의 신뢰성, 투명성,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UX framework based on service requirements, utili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NFT art valuation and algorith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 comprehensive functional survey and analysis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NFT art platforms was conducted, alongside a detailed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of the relevant stakeholders, including artists, curators, art dealers and collectors. Secondly, the core and success factors for quantitative evaluation were analysed using Delphi and AHP analysis, and a quantitative value evaluation model was proposed. Thirdly, we investigated and analysed NFT platform service scenarios to derive factors based on practicality, and derived elements such as curation models and personalised screen design guidelines necessary for the UX frame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UX design based on quantitative evaluation can ensure the reliability, transparency, and sustainability of blockchain-based NFT artworks.
목차
1. 서론
2. NFT 플랫폼 UX 분석 고찰
3. NFT 미술작품 UX 프레임워크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