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자인 평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 윤리적 지표 확장 필요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new paradigm shift in design evaluation : Focusing on the need to expand ethical metrics
발행기관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저자명
박신영(Shin Young Park) 김병수(Byung Soo Kim)
간행물 정보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341~352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평가 지표는 디자인 결과물 또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일관된 평가 기준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회·기술 환경의 발전으로 현재 디자인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되고 있으며 나아가 시공간의 제약 없이 소통 및 피드백까지 가능해지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저작권 침해, 조작 가능성, 책임 회피 등 다양한 윤리적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OECD, EU 등 국제기구 및 글로벌 기업은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윤리 기준을 제시하고 여러 규정들을 권고하고 있으나 국내 디자인 공모전과 가이드라인 등에서 활용되는 평가체계는 여전히 결과물 중심의 완성도와 심미성 평가에 머물러 있어 실질적인 윤리 문제 해결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국내외 총 10개 디자인 관련 기관의 평가 지표를 비교·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출된 세 가지 확장된 윤리 기준(과정의 투명성, 책임의 확장성, 디지털 포용성)이 현 평가체계에 얼마나 반영되고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평가체계는 결과 중심적 평가에 편중되어 있으며 국제 기준과의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온라인 환경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를 실질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확장된 윤리 문제를 점검할 수 있는 과정 중심의 평가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산업디자인 분야의 윤리 기반 평가체계 재정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디지털 전환 환경에서의 실질적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Evaluation indicators play a key role in systematically analyzing design outcomes and ensuring consistent assessment standards. As design increasingly operates through online platforms, enabling real-time sharing, communication, and feedback, ethical issues such as copyright infringement, manipulation, and evasion of responsibility have emerged. In response, organizations like the OECD and EU have proposed ethical standards suited to digital environments. However, domestic design evaluations—particularly in competitions and guidelines—remain focused on aesthetic quality, lacking mechanisms to address these ethical concerns. This study compares evaluation indicators from ten design institutions in Korea and abroad, assessing the extent to which three expanded ethical criteria—process transparency, extended responsibility, and digital inclusivity—are reflected. The findings reveal a domestic emphasis on outcome-oriented evaluations and a gap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To address this, a process-oriented evaluation framework is proposed to better respond to ethical challenges in digital design environments. This research offers foundational insights for revising ethical assessment systems in industrial design and supports future policy development aligned with digital transformation.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사회 트렌드 변화 속 기존 디자인 평가 지표의 한계점
4. 윤리적 지표 도입의 필요성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신영(Shin Young Park),김병수(Byung Soo Kim). (2025).디자인 평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 윤리적 지표 확장 필요성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 (3), 341-352

MLA

박신영(Shin Young Park),김병수(Byung Soo Kim). "디자인 평가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 윤리적 지표 확장 필요성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10.3(2025): 341-35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