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ow Exposing the Financial App Switching Screen Is Affecting the User Experience of MZ Generation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정찬비(Chan Bi Jeong) 윤재영(Jae Young Yun)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305~31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디지털 금융 서비스의 확산에 따라 모바일뱅킹 이용이 일상화되고 있으나, 금융 앱 사용 중 화면에 노출되는 잔액 및 거래 정보는 타인에게 노출될 경우 사용자 프라이버시 침해 및 2차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기존의 금융 앱 보안 연구는 주로 시스템 내부의 기술적 위협이나 해킹 대응에 집중해 왔으며, 일상적 맥락에서의 사용자 경험과 화면 노출 문제는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모바일뱅킹 이용률이 높고, 프라이버시 이슈에 민감한 MZ세대를 대상으로 금융 앱 사용 중 앱 전환 상황에서 화면 노출 방식이 사용자 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주요 금융 앱을 분석하였고, 앱 전환 시 노출되는 화면의 유형을 ‘화면 노출형’과 ‘동시 보호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금융 앱 사용 중 발생 가능한 3가지 대표 전환 상황을 조절변인으로 도출하였으며, 사용자의 신뢰도, 불편함, 만족도를 주요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동시 보호형’은 사용자로부터 높은 신뢰도를 확보한 반면, ‘화면 노출형’은 상대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아울러 앱 전환 상황의 맥락에 따라 사용자의 인식과 평가가 유의미하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안성과 사용자 경험 간의 균형을 고려한 금융 앱 화면 전환 설계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제시하며, 향후 금융 UI/UX 설계 방향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With the widespread adoption of digital financial services, mobile banking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daily life. However, when account balances and transaction details displayed on financial app screens are exposed during use, they can lead to privacy breaches and secondary damages. While prior research on financial app security has primarily focused on technical threats and internal system vulnerabilities, issues related to screen exposure and user experience in everyday contexts have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effect of screen exposure on user experience in app switching situations while using financial apps for the MZ generation, which has a high mobile banking utilization rate and is sensitive to privacy issues. An analysis of major domestic financial apps was conducted, identifying two main types of screen transitions during app switching: exposed screen and simultaneous protection. In addition, Three representative conversion situations that may occur while using financial apps were derived as control variables, and user reliability, discomfort, and satisfaction were set as major dependent variables.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simultaneous protection type elicited higher levels of user trust, while the exposed screen type was associated with higher user satisfaction. Furthermore, user perceptions and evaluations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context of the app-switching scenario.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screen transition design in balancing security and user experience in financial app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inform future UI/UX design strategies for financial services with a context-aware approach to secur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예비조사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