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ing XR UX heuristic and applying them via AI models : Focusing on XR game content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곽태영(Tae Young Kwak) 박수진(Su Jin Park) 박수빈(Su Bin Park) 김연재(Yeon Jae Kim) 황재원(Jae Won Hwang) 이상원(Sang 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215~23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XR 게임 시장 성장 정체의 핵심 요인을 UX 휴리스틱의 부재로 보고, XR 환경의 특수성을 반영한 13개 UX 휴리스틱 원칙을 체계화하였다. 2019년 이후 발표된 주요 학술 논문 13편을 선별해 오픈 코딩한 뒤 상위 범주로 통합하고, 이를 대표적인 XR 게임 7종에 적용하여 UX 요소를 항목별로 진단하였다. 이후 UX 평가 과정에 있어 객관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1,515건의 사례 데이터를 학습한 RAG 기반 AI UX 평가 모델을 제작하였다. 해당 모델은 인 게임 이미지와 상황 설명을 입력하면, 앞서 도출한 13가지 원칙 기반으로 UX적인 요소를 분석해 개선 방안까지 제시하도록 설계되었다. 해당 모델의 효과성을 게이머 그룹과 HCI 연구자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 결과, 13개의 휴리스틱 원칙은 평가의 공용 프레임으로 작용해 분석자 간의 용어 및 범주에 대해서 합치도 향상에 기여했으며, AI 모델은 휴리스틱 원칙 매핑 정확도 및 효율 개선에 기준선을 제공했다. 본 연구는 기존 휴리스틱 분석에서 표준화, 일관성과 관련해 부족했던 한계를 보완함으로써, 제안한 프레임과 모델이 XR 게임 UX 평가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osits that the stagnation in the XR game market’s growth stems chiefly from the absence of UX heuristics. Accordingly, we formalize thirteen UX heuristic principles that reflect the distinctive properties of XR environments. We selected thirteen major scholarly articles published since 2019 and conducted open coding, integrating the codes into higher order categories. We then applied these categories to seven representative XR games to assess UX elements by criterion. To enhance objectivity and efficiency in the evaluation process, we built a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 (RAG) based AI UX evaluation model trained on 1,515 case instances. Given in-game images and contextual descriptions as input the model analyzes UX elements against the thirteen principles and proposes improvements. Analyzing the model’s effectiveness separately for a gamer group and an HCI researcher group, we found that the thirteen heuristic principles served as a common evaluation framework, improving inter rater agreement on terminology and categories. By addressing prior limitations of heuristic analysis related to standardization and consistency, the proposed framework and model can enhance the practical utility of UX evaluation for XR gam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XR UX 원칙 도출
4. XR 게임 UX 분석 모델 개발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