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ook Fusion Design Based on AR (Augmented Reality)Technology : Centered on “The Story of Materia Medica”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저자명
- 장환영(Huan Ying Zhang) 왕운호(Yun Hu Wang)
- 간행물 정보
- 『한국디자인리서치』Vol10, No. 3(통권 36권), 75~9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국문 초록
융합 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함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AR 기술을 북 디자인에 접목하는 것은 전통적 종이 매체 서적이 지닌 지식 전달의 한계를 일부 극복하고, 공간적·몰입적 인지를 통해 독서 경험을 새롭게 정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한약재 식물을 중심으로 AR 기술과 북 디자인의 융합적 혁신을 탐구하며, 『본초물어(本草物语)』 북 디자인을 사례로 AR 콘텐츠 개발, 인터랙션 디자인, 실천적 적용 경로를 체계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해 AR 기술 및 AR 서적의 현황을 고찰하였으며, 『본초물어』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AR 기술을 융합한 북 디자인 혁신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한약재 식물의 3차원 모델링을 기반으로 AR 콘텐츠를 설계하고, 이를 북 디자인과 결합하여 실질적 응용을 구현하였다. 또한, PSSUQ 척도와 CSAT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용자 경험과 적용 효과를 분석·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R 기술과 『본초물어』 북 디자인의 융합 구현을 통해 독자에게 새로운 독서 경험을 제공하고 독자와 서적 콘텐츠 간 정서적 연결을 강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지식 전달과 문화 확산을 보다 생동감 있고 매력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AR 기술과 북 디자인의 융합 가능성이 검증되었으며, 이는 AR 기술이 북 디자인 매체로서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지식 전달 효율을 제고하는 데 있어 혁신적 의미를 지니며, 향후 북 디자인 발전에 새로운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advent of the convergent media era,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has been increasingly applied across various fields. Integrating AR into book design can partiall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print media in knowledge delivery and create spatial and immersive cognition, thereby redefining the reading experie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grative innovation of AR technology and book design, with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as the central theme, and systematically examines AR content development, interaction design, and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book design of “The Story of Materia Medica”.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the current status of AR technology and AR books was explored. Subsequently, “The Story of Materia Medica”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nd innovative approaches to book design incorporating AR were proposed. Specifically, AR content was developed based on three-dimensional modeling of medicinal plants and integrated with book design to achieve practical application. User experience and implementation effectiveness were analyzed and evaluated using the PSSUQ scale and CSAT data.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two aspects. First, the integration of AR technology with “The Story of Materia Medica” provided readers with a novel reading experience, strengthening the emotional connection between readers and book content, and facilitating more vivid and engaging knowledge delivery and cultural dissemination. Second, the feasibility of integrating AR technology with book design was verified, demonstrating that AR offers innovative potential by overcoming spatiotemporal constraints in book media and enhancing knowledge delivery efficiency, thereby suggesting new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book design.
목차
1. 서론
2. AR 기술 및 AR 북 디자인
3. AR 기술을 융합한 『본초물어』 서적의 디자인 실천
4. AR 기술과 『본초물어』 북 디자인 융합에 관한 응용 평가
5. AR 기술 기반 『본초물어』 북 디자인의 응용 실천 및 평가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