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의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Subjective Expectations and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발행기관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정희(Junghee Kim)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68권 제3호, 127~14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표본은 2022년에 실시된 제9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KLoSA」를 활용하여, 연구모형에 부합한 4,390명의 데이터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IBM SPSS 25.0을 통해 기술통계, 차이검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개인 요인, 가족자원 요인, 건강 요인으로 구분하고 삶의 만족도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개인 요인은 성별, 연령대, 최종학력, 거주지역, 종교가 유의미했고, 가족자원 요인은 결혼상태, 주택소유 형태, 자녀용돈이 유의미했다. 건강 요인은 건강상태, 운동빈도, 치매진단 여부, 음주 여부가 유의미했다. 둘째,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주요변수인 주관적 기대감, 우울이 유의미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개인 요인의 최종학력, 거주지역이었고, 가족자원 요인은 결혼상태, 주택소유 형태, 자녀 용돈이었다. 건강 요인은 건강상태, 운동빈도, 치매진단 여부, 음주 여부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subjective expectations and depression affect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Data were drawn from the 9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conducted in 2022, with a final sample of 4,390 individuals who met the criteria for analysis. Using IBM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tests,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ociodemographic chatacteristics were categorized in to personal factors, family resource factors, and health factors, and their differences in relation to life satisfaction were analyaed. Among personal factors, gender, age group, educational attainment, residential area, and religion were significant. For family resource factors, marital status, housing ownership and financial support from children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Significant health factors included self-rated health, exercise frequency, dementia diagnosis, and alcohol consumption. Second, both subjective expectations and depress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predictors, educational attainment and residential area (personal factors); marital status, housing ownership, and children’s financial support(family resource factors); and self-rated health, exercise frequency, dementia diagnosis, and alcohol use (health factors)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희(Junghee Kim). (2025).노인의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68 (3), 127-148

MLA

김정희(Junghee Kim). "노인의 주관적 기대감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68.3(2025): 127-14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