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Interpersonal Trauma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eachers: The Rol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이용수 0

영문명
발행기관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김미진(Mijin Kim) 이지연(Jeeyon Lee) 서경원(KyungWon Seo)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68권 제3호, 107~12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인관계 외상이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외상 후 성장(PTG)이 완화하는지, 그리고 이러한 완화 효과가 지각된 정서적 지지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의 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외상, 외상 후 성장, 정서적 지지, 전문적 정체성에 대한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PROCESS Macro의 모델 3을 사용한 조절된 조절 분석 결과, 대인관계 외상은 전문적 정체성과 부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PTG 수준이 높은 교사에게서는 이 부정적 관계가 약화되었다. 나아가 유의미한 3차 상호작용 결과는 PTG의 완충 효과가 정서적 지지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주었다. 즉, 정서적 지지가 낮을 때 PTG의 보호 효과가 가장 강하게 나타났으며, 정서적 지지가 중간 수준일 때는 그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정서적 지지가 높은 경우에는 PTG 수준이 낮은 교사에게서 오히려 외상과 전문적 정체성 간에 긍정적인 관계가 나타났으며, PTG 수준이 높아질수록 이러한 효과는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TG와 정서적 지지 간의 상호작용이 맥락에 따라 복잡하게 작용함을 시사한다. 교사가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하더라도 충분한 정서적 지지 또는 PTG가 있을 경우, 전문적 정체성을 성찰하고 재구성하는 과정이 촉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외상 경험 후에도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 유지를 돕기 위해 인지적 처리와 통합을 촉진하고, 정서적 지지를 강화하는 심리사회적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osttraumatic growth (PTG) moderates the negative effects of interpersonal trauma on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whether this moderating effect is further conditioned by levels of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 total of 284 school teachers in South Korea completed measures of interpersonal trauma, PTG, emotional support, and professional identity. A moderated moderation analysis using PROCESS Model 3 revealed that interpersonal trauma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rofessional identity. However, this relationship was weaker among teachers with higher PTG. A significant three-way interaction further showed that the buffering effect of PTG differed depending on emotional support. The protective effect of PTG was strongest when emotional support was low and became non-significant under moderate levels of support. When emotional support was high, teachers with low PT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rauma and professional identity, suggesting that emotional support served as a buffer. However, this effect diminished as PTG increas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PTG and emotional support is complex and dependent on context. Even when teachers experience interpersonal trauma, the presence of sufficient emotional support or PTG may facilitate a process of reflec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Th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psychosocial interventions that cultivate cognitive processing and integration while strengthening emotional support to help teachers maintain their professional identity following interpersonal trauma.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진(Mijin Kim),이지연(Jeeyon Lee),서경원(KyungWon Seo). (2025).Interpersonal Trauma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eachers: The Rol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인문사회과학연구, 68 (3), 107-126

MLA

김미진(Mijin Kim),이지연(Jeeyon Lee),서경원(KyungWon Seo). "Interpersonal Trauma and Professional Identity in Teachers: The Rol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인문사회과학연구, 68.3(2025): 107-12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