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십우도에 나타난 융의 자기실현과 이동식의 핵심감정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Jung's Self-Realization and Lee Dong-Sik's Core Emotions as Reflected in the Ten Ox-Herding Pictures
발행기관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박정환(Junghwan Park)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68권 제3호, 83~10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십우도의 틀을 통해 칼 융의 자기실현 이론과 이동식의 핵심감정 이론을 비교·분석한다. 십우도는 소를 잃고, 자취를 찾고, 발견하여 길들이고, 궁극적으로 소와 자기 자신을 모두 초월한 뒤 다시 본래의 자리로 돌아오는 영적 여정을 보여주는 고전적인 선불교 도상(圖像)이다. 융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십우도의 각 단계는 자아를 초월하고 참자기(Selbst)를 실현해 가는 상징적 과정을 나타낸다. 이는 곧 융이 말한 개성화 과정(Individuation)의 흐름과 맞닿아 있다. 반면 이동식의 관점에서 볼 때, 소를 찾는 단계는 자신의 핵심감정을 인식하는 것과 병행하며, 이후의 단계들은 이 감정을 극복하고 온전한 자기완성과 타인에 대한 자비로운 관계 형성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묘사한다. 본 논문은 십우도의 열 단계를 분석함으로써 두 심리학적 이론을 비교적으로 탐색하고, 개성화와 핵심감정 통합이라는 두 과정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결론에서는 두 이론적 틀 사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동양과 서양 심리학 전통 속에서 자기실현에 대한 보다 포괄적이고 학술적인 이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Carl Jung’s theory of self-realization and Dong-Sik Lee’s Core Emotion Theory through the framework of the Ten Ox-Herding Pictures(十牛圖). The Ten Ox-Herding Pictures are a classic Zen Buddhist iconographic sequence(圖像) that depicts a spiritual journey in which the practitioner loses the ox, searches for its tracks, finds and tames it, transcends both the ox and the self, and ultimately returns to the origin. From the perspective of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each stage of this sequence symbolically represents the process of transcending the ego and realizing the Self(Selbst), corresponding closely with Jung’s concept of the individuation process (Individuation). In contrast, from Lee’s perspective, the stage of discovering the ox parallels the recognition of one's core emotion, while the subsequent stages illustrate the overcoming of this emotion, leading to wholeness and the formation of compassionate relationships with others. By analyzing each of the ten stages, this paper seeks to conduct a comparative exploration of these two psychological frameworks, thereby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both the individuation process and core emotion integration. The conclusion offers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theoretical frameworks, contributing to a more comprehensive and scholarly understanding of self-realization within both Eastern and Western psychological traditions.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환(Junghwan Park). (2025).십우도에 나타난 융의 자기실현과 이동식의 핵심감정 비교. 인문사회과학연구, 68 (3), 83-106

MLA

박정환(Junghwan Park). "십우도에 나타난 융의 자기실현과 이동식의 핵심감정 비교." 인문사회과학연구, 68.3(2025): 83-10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