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uspended Sentence Judgments in Dating Violence Cases: With a Focus on Victim Safety and Policy Reform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김성령(Sung Ryung KIM) 이예솔(Ye Sol LEE) 박효정(Hyo Jeong BAK) 배재익(Jae Ik BAE) 조훈식(Hun Sik JO)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33권 제2호, 91~12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3년간(2022~2025년 7월) 1심에서 집행유예 판결이 선고된 교제폭력 사건 판결문 149건을 분석하여 사건의 특성과 사법적 판단 경향을 살펴보고, 피해자 보호와 제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자료는 대법원 종합법률정보와 민간 법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사건 특성, 선고 결과, 부수처분, 양형사유 등을 양적·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피해자의 다수는 여성이었으며, 20~30대가 가장 많았으나 10대와 60대도 포함되어 특정 연령층에 국한되지 않았다. 폭력은 정서적, 신체적, 성적, 경제적 폭력이 중첩적으로 나타났으며, 관계 종료 고지·재결합 거부 등 피해자의 자율적 결정이 가해자의 통제욕과 결합하면서 폭력으로 전이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다수 사건은 복합기소 형태였고, 동일 피해자에 대한 반복 가해와 전력 누적이 확인되었다. 양형에서는 가해자에게 유리한 정상(초범, 반성, 처벌불원 등)이 불리한 정상보다 빈번히 참작되었으며, 부수처분은 교육·사회봉사에 머물러 피해자 안전과 재범 억제를 위한 실질적 조치는 부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제폭력이 친밀한 관계에서 발생하는 젠더 기반 폭력으로서 구조적·지속적 특성을 지님에도 불구하고, 현행 사법 대응이 피해자 보호와 재범 방지 측면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교제폭력을 규율하는 독립 법률 제정, 피해자 자율의사 검증절차 도입, 복합 피해에 대응하는 통합 지원체계 마련, 젠더 기반 폭력 예방교육 강화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dating violence cases and judicial decision-making trends by analyzing 149 first-instance court judgments involving suspended sentences over the past three years (between 2022 and July 2025), with the aim of deriving implications for victim protection and institutional reform.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preme Court Integrated Legal Information System and a private legal databa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on case characteristics, sentencing results, ancillary dispositions, and sentencing consideration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jority of victims were women, most frequently in their 20s and 30s, although cases involving victims in their teens and 60s were also identified, indicating incidents are not confined to a specific age group. The violence encompassed overlapping emotional, physical, sexual, and economic violence. It was found that the victim's autonomous decision (e.g., ending a relationship or refusing reconciliation) escalated into violence when combined with the offender's desire for control.
A substantial proportion of cases were multiple indictments, and patterns of repeat offending and accumulated criminal histories were observed. In the sentencing consideration, mitigating factors in favor of the defendant (e.g., being a first offense, acknowledgment of facts and remorse, and victim’s unwillingness to pursue punishment or having reached a settlement)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the sentencings than aggravating factors. Ancillary dispositions consisted of educational programs and community service orders, and substantial measures for safety of victims and preventing reoffense were limit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despite the structural and persistent nature of dating violence as gender-based violence in intimate relationship, current judicial system is insufficient in preventing reoffense and protecting victim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the enactment of independent legislation, the introduction of procedures to verify autonomous intentions,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to address multiple forms of harm, and strengthening of gender-based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