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mpirical Analysis of Court Judgments on Dating Violence: Characteristics and Legislative Considerations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강소영(So Young Kang)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33권 제2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에서 교제폭력에 대한 법적 정의와 제도적 기반이 미비한 상황에서, 판결문 분석을 통해 교제폭력의 실태와 특성을 규명하고 향후 입법 및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10년간(2015~2025) 확정된 교제폭력 관련 판결문 152건을 수집·분석하여 피해자·가해자 특성, 폭력 유형, 범행 양상, 법적 처분 등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교제폭력은 전 연령층에서 발생하며 결별 이후에도 위험이 지속되고, 신체적 폭력뿐 아니라 정서적 폭력과 강압적 통제 등 비신체적 폭력의 비중이 높았다. 또한, 전과자 비율과 흉기 사용 빈도가 높아 고위험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형량은 상대적으로 낮게 부과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제폭력을 고위험·다범죄적 친밀관계 폭력으로 인식하고, 비신체적 폭력의 범죄화, 전과·흉기 소지 가중처벌, 경찰 초기개입권 강화 등 종합적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판결문을 활용하여 교제폭력의 행위 특성과 위험성을 실증 분석한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제도적 공백 해소와 실효적 입법·정책 대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haracteristics of dating violence through judgment analysis and suggest policy recommendations for future legislation to punish dating violence. A total of 152 stalking court decision cases between January 1, 2015 and March 1, 2025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60.5% of the perpetrators have a criminal record, and many cases occur together with sexual crimes and stalking, so follow-up management is necessary for high- risk groups with a high risk of recidivism. 53.3% of the cases occurred shortly after the victim's announcement of intent to leave or at the end of the relationship, indicating a persistent and recurring pattern, which calls for discussion on the timing of early victimization interventions. However, short-term punishments have limitations in terms of effective punishment and reoffense prevention. Currently, dating violence lacks a legal definition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which limits its diagnosis and response, and can develop into a serious crime.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a plan to include dating violence in the subject of discipline along with the revision of the current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heds light on the reality and dangers of dating violence through recent case law, and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future legislative discuss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자료수집 및 분석결과
Ⅳ. 논의 및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