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30-folio Seoul-area Edition (Gyeongpan) of Sodaeseongjeon at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연구학회
- 저자명
- 이지영(Ji-young Yi)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연구(韓國古典硏究)』제70권, 89~12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동경외국어대학교(이하 동경외대) 소장 경판 30장본 <소대성전>의 서지적 특징을 분석하고 여타 경판 <소대성전> 판본들과 행문을 비교하여 판본 간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경외대 소장 <소대성전>에는 ‘효교신간’ 간기가 있는 30장본 <소대성전>이 5책 소장되어 있다. 특이한 오각 사례가 발견되고 동일한 판본이 5책이나 소장되어 있는 것을 보면, 조선에서 간행된 효교신간본을 일본으로 가져가 복각한 것으로 추정된다. 30장본 <소대성전>은 제20장 이전까지 반엽당 글자수가 24장본과 거의 일치하며 각자체와 판식도 거의 같다. 30장본의 행문을 23장본・24장본・36장본과 비교한 결과, 20장까지는 24장본・30장본・36장본의 차이가 크지 않은 가운데 23장본만 행문이 조금 더 간결한 양상을 보였다. 21장 이후 군담 대목부터 24장본은 30장본의 내용을 크게 축약하였고, 36장본은 장면을 확대하였다. 이 부분에서 23장본의 행문은 상대적으로 30장본과 비슷한 반면, 36장본은 다른 판본들과 거리가 있었다. 군담 대목 이후 36장본은 장면을 구체화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그 과정에서 서술상 착종도 나타났다. 채봉과의 혼인이 서술된 결말 부분에서 36장본과 23장본은 행문을 크게 확대하였고 30장본은 간결한 행문이 유지되고 있어, 이 부분에서 네 판본 간 차이는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30장본의 특징을 복합판식이라는 점과 연관시켜 보면, 30장본은 선행하는 ‘33장본(미전승)’의 3장부터 20장까지의 반엽당 글자수를 늘려서 개각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36장본은 ‘33장본’의 군담 부분을 부연하여 개각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bibliographical features of the commercially printed woodblock (Bangakbon) 30-folio Seoul-area edition (Gyeongpan) of Sodaeseongjeon held at Tokyo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UFS) and to investigate its relationship with other Seoul-area editions of the same text by comparing their textual content. TUFS houses five identical copies of the 30-folio Sodaeseongjeon, all bearing the imprint ‘Hyogyo Singan’(孝敎新刊), meaning “newly engraved at Hyogyo.” This 30-folio edition shows similarities in format and in the number of characters per half-folio from folio 2 to folio 20 with the 24-folio edition. Specifically, from folio 3 to folio 20, the number of characters per half-folio ranges from 340 to 360, but it decreases to between 290 and 310 from folio 21 onwards, accompanied by a change in font style, indicating a composite printing style. Considering the unusual misengraving examples and the existence of multiple identical copies (five in total), it is presumed that this 30-folio edition at TUFS is a Japanese reprint of a Korean original published in Joseon bearing the ‘Hyogyo Singan’ imprint. The narrative length up to folio 20 in the 30-folio edition matches that of the 24-folio edition and shows little difference compared to the 36-folio edition. In the concluding section, however, the 30-folio edition has more narrative content than the 24-folio edition, yet less than the 23-folio and 36-folio editions. Textual comparison reveals that from folio 21 onward, especially in the war narratives, the 24-folio edition significantly abridges the content present in the 30-folio edition, whereas the 36-folio edition expands upon it, making the 30-folio edition most similar to the 23-folio edition in this section. The 36-folio edition distinctly elaborates on narrative scenes, causing textual complic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ather than the 30-folio edition being an abridged version of the 36-folio edition, it is more likely that the 36-folio edition expanded upon a common source text. In the concluding marriage narrative, the 24-folio edition again abbreviates content compared to the 30-folio edition, whereas both the 36-folio and 23-folio editions show an expansion of narrative detail, marking this section as exhibiting the greatest variance among the four editions. Connecting these characteristics to the composite printing style of the 30-folio edi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30-folio edition was produced by slightly altering a preceding, now lost, ‘33-folio edition’ by primarily increasing characters per half-folio from folio 3 to 20 and then adopting an existing printing format from folio 21 onward. Additionally, it can be assumed that the 36-fascicle version was a redaction that elaborated on the military narrative sections of the ‘33-fascicle version.’
목차
1. 서론
2. 동경외국어대학교 소장 30장본의 서지적 특징
3. 30장본과 36장본・24장본・23장본의 비교
4. 30장본의 형성 과정 추론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