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Access Control and CCTV Integrated Control Center Operation Systems in Court Complexe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성일(Sung-Il Kim) 강경수(Kyoung-Soo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3호, 43~5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25년 1월 발생한 법원 습격ㆍ점거 사태와 법정 내 피습 사건을 계기로 법원종합청사의 출입통제 및 CCTV 종합상황실 운영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사법시설의 특수성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사법부의 독립성과 국민의 재판받을 권리를 동시에 보장해야 하는 법원 보안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강화된 보안과 열린 사법의 균형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법원조직법, 법원보안관리대 규칙 등 관련 법령 및 운영지침에 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둘째, 전국 6개 고등법원 소재 법원종합청사의 보안시설 현황을 현장조사 하였다. 셋째, 국가정 보원과 청와대 등 국가 핵심시설 및 삼성전자와 주요 시중은행 등 민간기업의 보안시스템에 대한 비교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현행 법원 보안체계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법ㆍ제도적으로는 법원 보안관리대의 법적 권한이 제한적이어서 강제적 검색이나 제지가 어려웠다. 기술적으로는 평균 7년 이상 노후화된 출입통제 장비와 저해상도 CCTV, 통합관제시스템의 부재가 문제로 지적되었다. 운영적으로는 관제요원 1인당 담당 CCTV가 40대로 적정기준을 초과하였고, 체계적인 교육 훈련 프로그램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세 가지 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법ㆍ제도적 개선으로 법원보안관리대법 제정과 특별사법경찰권 부여를, 기술적 개선으로 다중생체인증 출입통제시스템과 AI 기반 지능형 CCTV 도입을, 운영ㆍ관리적 개선으로 법원보안처 신설을 통한 지휘체계 일원화와 전문교육원 설립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법시설 보안 고도화를 위한 종합적이고 실행 가능한 로드맵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법원 보안정책 수립의 실무적 지침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problems in the access control and CCTV integrated control room operation systems of court complexes following the January 2025 court invasion incident and assault case during trial proceedings, and to propose effective improvement measures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judicial facilities. This research seeks to find a balance between enhanced security and open justice, considering the special nature of court security that must simultaneously guarantee judicial independence and citizens' right to trial.
The research methods employed were as follows: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relevant laws and operational guidelines including the Court Organization Act and Court Security Guard Regulations. Second, field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on security facilities at court complexes in six high court jurisdictions nationwide. Thir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experts including court security guard officers, security company professionals, and security studies professors. Fourth, a comparative case analysis was performed on security systems of national core facilities such as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nd the Blue House, as well as private companies including Samsung Electronics and major commercial banks.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the current court security system has the following structural problems. Legally and institutionally, the court security guards have limited legal authority, making forceful inspections or restraints difficult. Technologically, problems identified included access control equipment aged over 7 years on average, low-resolution CCTV cameras, and absence of integrated control systems. Operationally, each monitoring personnel was responsible for 40 CCTV cameras exceeding appropriate standards,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ere insufficient.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improvement measures in three dimensions. For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it suggests enacting a Court Security Guard Act and granting special judicial police authority. For technological improvements, it recommends introducing multi-biometric authentication access control systems and AI-based intelligent CCTV. For operational and managerial improvements, it proposes unifying the command structure through establishing a Court Security Department and founding a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e.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guidelines for future court security policy establishment by presenting a comprehensive and implementable roadmap for enhancing judicial facility secur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법원종합청사 보안체계 현황 진단 및 문제점 분석
Ⅳ. 법원종합청사 보안체계 개선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