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 of Perceived Compensation Fairness on Turnover Intention Among Police Officer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강소영(So-Young Kang) 박상진(Sang-J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2권 제3호, 1~2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휴일 초과ㆍ야간근무수당 체계를 중심으로 보상체계에 관한 인식(보수공정성, 적절성, 만족도)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찰공무원 총 1,38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보수공정성 인식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β=.408, p<.001), 직무만족은 이직의도를 유의미하게 낮추는 결과를 보였다(β=-.356, p<.001). 이는 보수 수준 자체보다 공정성과 적절성에 대한 인식이 경찰관의 직무만족과 조직적 차원에서의 인력 유지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현행 보수체계의 병급 금지 조항으로 인해 경찰관이 실제 노동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미국, 일본, 프랑스 등 주요국들이 초과ㆍ휴일근무에 대해 중복 수당지급과 할증률 적용을 제도화하고 있는 점 등에 비추어, 현행 병급금지 조항의 개정 등을 정책대안으로 제시하며, 행정입법을 통한 실무적 개선과 입법적 정비 필요성을 함께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s of South Korea’s compensation system for police officers' overtime and holiday work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current regulations, including the “Regulations on Public Officials’ Allowances”, double compensation is prohibited for overlapping overtime, nighttime, and holiday work, despite the demanding and irregular nature of police duties. Based on a survey of 1,380 police officer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erceived pay fairness significantly increased job satisfaction (β=.408, p<.001), while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turnover intention (β=-.356, p<.001).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rceptions of fairness and adequacy in compensation are more influential than pay levels themselves in retaining personnel. The study also identified that the current single-compensation rule often fails to provide police officers with adequate remuneration for their labor. A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U.S., Japan, and France shows that those countries institutionalize dual compensation and premium rates reflecting the intensity and timing of police work.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s policy reforms such as revising the ban on dual compensation, increasing holiday pay rates, and introducing special allowances for night-duty or hazardous work. It concludes by highlighting the practical feasibility of administrative revision and the legislative necessity of restructuring the pay system to reflect equity and workloa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설계 및 분석결과
Ⅳ. 논의 및 제언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