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eed Vigor and Grain Quality Traits under Accelerated Aging Treatment in japonica Rice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강경민(Kyeongmin Kang) 이승영(Seung Young Lee) 하수경(Su-Kyung Ha) 이길응(Gileung Lee) 박재령(Jae-Ryoung Park) 진민아(Mina Jin) 서정필(Jung-Pil Suh) 모영준(Youngjun Mo) 이현숙(Hyun-Sook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57 No.3, 217~23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0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자포니카 벼 품종의 노화촉진 처리에 따라 종자 활력 및 미질 관련 형질이 변화하는 양상을 평가하고, 노화촉진 처리 후 종자활력이 유지되는 품종을 선발하여 이를 육종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포니카 벼 53개 품종을 대상으로 42℃, 상대습도 95%의 조건에서 0, 8, 12, 16일간 종자를 노화촉진 처리한 후, 발아율 및 테트라졸리움 활력 검정, 밥의 물성(부착성, 탄력성, 찰기, 경도), 호화점도 특성(최고점도, 최종점도, 치반점도, 강하점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종자 발아율와 활력은 노화촉진 처리 12일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16일 처리 후에는 발아율 평균이 5.6%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노화촉진 12일 처리 후 결과를 기준으로 발아율과 종자활력 검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참동진, 신동진1, 미소진품 등은 노화에 대한 내성이 높은 품종으로 판단된다. 밥의 물성은 노화촉진 처리 기간의 증가에 따라 완만하게 변화하였으며, 탄력성과 경도는 증가하고, 부착성과 찰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호화점도 특성은 노화촉진 처리 8일 후 급격히 변화하였고, 이후에는 변화가 크지 않았으며, 노화촉진 처리 기간이 길어질수록 최고점도, 최종점도, 강하점도는 증가하였고, 치반점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노화촉진 처리 기간에 따른 종자 발아율 변화 양상을 기반으로 한 군집 분석 결과, 자포니카 벼 53개 품종은 총 세 개의 군집으로 나뉘어졌다. 노화촉진 처리에 따른 발아율과 미질 관련 형질의 주성분 분석 결과, 세 개의 군집에서 동일하게 발아율과 밥의 물성 중 경도가 높은 관계성을 보였다. 특히, 군집 3에 속한 품종들 중 발아율이 높게 유지되면서 국내에서 선호하는 낮은 경도와, 높은 강하점도의 특성을 가진 참동진, 평안, 신동진, 신동진1 등은 향후 장기 저장 조건에서 종자 활력과 미질 특성이 우수한 벼 품종을 개발하기 위한 육종 소재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decrease in seed vigor and grain quality during storage has become an increasinglycritical issue due to the extended storage periods resulting from declining riceconsumption and climate change in Korea. Despite its importance, few studies haveinvestigated rice seed aging in a large number of Korean rice cultivars. In this study, 53japonica rice cultivars were evaluated for seed germination, vigor, and grain quality-relatedtraits under accelerated-aging conditions. Seed germination rate was evaluated 7 daysafter imbibition, following accelerated aging treatments at 42℃ and 95% relative humidityfor 8, 12, and 16 days. The average germination rates were 72.9% in the control (0 d), 71.7%after 8 days, 59.0% after 12 days, and 5.6% after 16 days of treatment. Grain quality-relatedtraits, including texture and pasting properties, were also evaluated in rice subjected to theaccelerated aging treatment. Adhesiveness and stickiness decreased, whereas hardnessand toughness increased, as seed aging progressed. Cluster analysis based on germinationrates after accelerated aging identified three distinct clusters, with cultivars in Cluster3 maintaining a high germination rate of 70.6% even after 12 days of aging, showing cleardifferences from the other clusters.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conducted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rmination rate and grain quality-related trai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ermination rate and hardness tended to be negatively associatedacross all three cluster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cultivars with higher germinationrates tend to maintain a softer cooked rice texture after aging. Our results provide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seed aging and grain quality, highlighting elite cultivarsthat maintain both germination ability and grain quality during storage as valuable resourcesfor breeding programs.
목차
서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요
사사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