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광각관찰시스템하 열공망막박리의 유리체절제술중 공막누르기 유무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Comparison of Scleral Depression in Vitrectomy for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Under a Wide-Angle Viewing System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조준희(Jun Hee Cho) 김유민(Yu Min Kim) 도재록(Jae Rock Do) 박동호(Dong Ho Park) 강용구(Yong Koo Kang)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volume66,number9, 359~365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열공망막박리에서 비접촉형 광각관찰시스템을 이용하여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했을 때 공막누르기 유무에 따른 수술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9년 3월부터 2023년 1월까지 단일 망막 전문의가 유리체절제술로 수술한 128안의 열공망막박리 환자를 검토하였다. 저자들은 유리체절제술 중 공막누르기를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 사이의 치료 효과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결과: 수술적 성공률은 공막누르기를 시행한 군에서 88.9%,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93.9%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323). 수술 후 최대교정시력(logMAR)은 공막누르기를 시행한 군에서 0.409 ± 0.063,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 0.499 ± 0.090로 두 군 간의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787). 열공망막박리의 재발과 관련된 인자 분석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 하측 열공망막박리(odds ratio [OR] 6.125, p=0.006)와 실리콘기름의 안내충전(OR 33.333, p=0.001)이 유의한 인자로, 다변량 분석에서도 하측 열공망막박리(OR 10.185, p=0.004)와 실리콘기름의 안내충전(OR 47.739, p=0.001)이 유의한 인자로 확인되었다. 한편, 공막누르기의 유무는 열공망막박리의재발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OR 0.525, p=0.324). 결론: 광각관찰시스템을 이용한 유리체절제술 중 공막누르기 시행 유무에 따른 수술 성공률, 시력 예후, 열공망막박리의 재발 모두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surgical outcomes of vitrectomy performed using a non-contact wide-angle viewing system for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with a focus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cleral depression. Methods: In total, 128 eyes from patients who underwent vitrectomy for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between March 2019 and January 2023 were included.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between a group who underwent scleral depression during vitrectomy and a group who did not. Results: The surgical success rate was 88.9% in the scleral depression group and 93.9% in the non-depression group, show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323). Similarly, at the final postoperative follow-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etween the groups: 0.409 ± 0.063 logMAR in the scleral depression group and 0.499 ± 0.090 logMAR in the non-depression group (p = 0.787). Univariate analysis identified inferior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odds ratio [OR] = 6.125, p = 0.006) and intraocular silicone oil tamponade (OR = 33.333, p = 0.001) as significant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ce of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Multivariate analysis confirmed inferior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OR = 10.185, p = 0.004) and intraocular silicone oil tamponade (OR = 47.739, p = 0.001) as independent predictors. Conversely, scleral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ecurrence of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OR = 0.525, p = 0.324). Conclusions: The use of a wide-angle viewing system during vitrectomy, regardless of whether scleral depression was performed,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on surgical success rates, visual outcomes, or recurrence of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준희(Jun Hee Cho),김유민(Yu Min Kim),도재록(Jae Rock Do),박동호(Dong Ho Park),강용구(Yong Koo Kang). (2025).광각관찰시스템하 열공망막박리의 유리체절제술중 공막누르기 유무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66 (9), 359-365

MLA

조준희(Jun Hee Cho),김유민(Yu Min Kim),도재록(Jae Rock Do),박동호(Dong Ho Park),강용구(Yong Koo Kang). "광각관찰시스템하 열공망막박리의 유리체절제술중 공막누르기 유무에 따른 수술 결과 비교." 대한안과학회지, 66.9(2025): 359-365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