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유치진의 전시희곡과 부산

이용수 0

영문명
Yoo Chi-jin's Wartime Plays and Busan During the Korean War
발행기관
한국문학회
저자명
조영애(Young-Ae Cho)
간행물 정보
『한국문학논총』제100집, 45~8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유치진의 전시희곡 <순동이>, <자매2>, <조국은 부른다>를 대상으로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의 장소성을 분석하였다. 유치진 희곡을 반공 이데올로기나 국가주의 담론의 측면에서 고찰한 기존 연구의 경향성을 벗어나 이 논문에서는 작품 속 장소 경험(피란열차, 구호소, 부두, 미군 기지, 판자촌, 바다 등)에 주목하여 한국전쟁기 부산이 단순한 배경이 아닌 복합적 장소성을 지닌 공간임을 규명하였다. 한국전쟁기 유치진의 전시희곡에서 부산은 네 가지 차원의 경계성을 지니고 있었다. 점령과 비점령, 전선과 후방이 교차하는 지리적 경계, 토박이와 피란민, 군인, 예술인, 해외 유입 인력, 관료 등 이질적 집단이 혼재하는 사회적 경계, 희망과 절망, 회복과 상실이 중첩되는 감정적 경계 국가동원의 목적예술과 순수예술의 지향이 교차하는 예술적 경계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경계 위에서 인물들은 실존적 외부성과 내부성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었으며, 부산은 공동체 해체와 재편, 윤리적 각성과 회복의 무대로 기능하였다. 따라서 피란수도 부산은 단순한 피란처가 아니라 한국전쟁기 한국 사회의 구조적 모순과 복합적인 경계성의 문제를 집약적으로 응축한 공간이었다. 한국전쟁기 유치진의 전시희곡은 이 경계 위의 부산을 통해 국가와 개인, 전선과 후방, 공동체와 개인의 갈등과 회복을 무대화하였다. 또한 단순한 국책극을 넘어 한국전쟁기의 인간적 고뇌와 공동체 기억을 증언하는 기억의 예술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spatiality of Busan, the wartime capital during the Korean War, through Yoo Chi-jin's wartime plays , , and . Departing from the tendency of previous studies that examined Yoo Chi-jin's plays from the perspective of anti-communist ideology or nationalist discourse, this paper focuses on the experiences of place within the works (evacuation trains, relief centers, docks, US military bases, shantytowns, the sea, etc.). It clarifies that Busan during the Korean War was not merely a backdrop but a space possessing complex spatiality. In Yoo Chi-jin's wartime plays during the Korean War, Busan possessed a four-dimensional borderland quality. These were: the geographical boundary where occupied and unoccupied territories, front lines and rear areas intersected; the social boundary where heterogeneous groups—natives, refugees, soldiers, artists, foreign workers, and bureaucrats—coexisted; the emotional boundary where hope and despair, recovery and loss overlapped; and the artistic boundary where state-mobilized utilitarian art and pure artistic aspirations intersected. Upon these boundaries, individuals simultaneously experienced existential externalization and internalization, while Busan functioned as a stage for community dissolution and reorganization, ethical awakening, and recovery. Thus, the refugee capital of Busan was not merely a place of refuge but a space intensely condensed with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and complex issues of boundary-ness within Korean society during the Korean War. Yoo Chi-jin's exhibition plays during the Korean War staged the conflicts and recoveries between nation and individual, frontline and rear, community and individual through this Busan on the border. Moreover, they transcended mere state-sponsored theater to establish themselves as an art of memory, bearing witness to the human anguish and collective memory of the Korean War era.

목차

1. 서론
2. 피란수도 부산, 전시희곡의 복합적 무대
3. 유치진의 전시희곡에 나타난 부산의 경계성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애(Young-Ae Cho). (2025).한국전쟁기 유치진의 전시희곡과 부산. 한국문학논총, (), 45-81

MLA

조영애(Young-Ae Cho). "한국전쟁기 유치진의 전시희곡과 부산." 한국문학논총, (2025): 45-8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