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lementation of Naeseon Gonghak(內鮮共學) during the Wartime Regime and Kyongsong Muhak Public Girls’ High School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저자명
- 박현옥(Hyun-ok Park)
- 간행물 정보
- 『중앙사론』제65집, 57~100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총독부의 내선일체 교육 실천 양상과 실제를 1940년 설립된경성무학공립고등여학교(이하 무학고녀)를 통해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무학고녀는 경성의 중등 여학교로서는 최초로 일본인, 조선인 학생을 ‘동일인원’을선발하여‘동일한’ 교육을수행한내선공학시범학교이자, 실천적표상이었다. 조선인, 일본인 여성의 ‘조우’, ‘융합’의 공간이었던 무학고녀에서 이루어진 교육활동과 학생들의 진로, 주체들의 기억을 검토하여 전시체제기 ‘황국여성 양성’을 위한 여성교육의 실제를 복원해 보고자 하였다.
무학고녀는 내선일체 교육과 ‘황국여자양성’ 교육을 실천하였다. ‘국어상회’, ‘학우제’ 등의 특유의 교육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일본어 사용을 자연스럽게 내면화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사적 공간인 가정까지도 교육의 영향권으로 포섭하고자 다양한 방식으로 학교와 가정간의 교류를 추진하기도 하였다. 전시체제가 강화되면서 일본식 현모양처 양성의 여성 교육 공간은 근로동원의 전위로서 기능하였다. 그 과정에서 학생 개개인의 열망은 전시국가의 생존을 위하여 복속되었다. ‘현모양처’, ‘직업부인’을 꿈꾸었던 인문여학교 졸업생들의 진로는 ‘내선일체’라는 구호 하에 국가가 생산하고자 하는 ‘사회부인’으로 굴절, 변형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practices and realities of Naeseon Ilche(內鮮一體) education under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through the case of Gyeongseong Muhak Public Girls’ High School, founded in 1940. Muhak was the first secondary girls’ school in Gyeongseong to select an equal number of Japanese and Korean students and to provide them with an identical curriculum, functioning both as a model school of naeseon gonghak(內鮮共學, integrated Japan- Korea schooling) and as a practical embodiment of this policy. By examining the educational activities, career trajectories, and memories of those involved at Muhak - an encounter and “fusion” space for Japanese and Korean women - this study seeks to reconstruct the realities of women’s education aimed at cultivating “Imperial Women(皇 國女子)” during the wartime regime.
Muhak actively implemented Naeseon Ilche education and the cultivation of “Imperial Women”. Through distinctive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the Monthly National Language Sessions(國語常會) and the Peer Friendship System(學友制), students were encouraged to internalize the use of Japanese naturally in daily life. The school also sought to extend its influence into the private sphere of the home, promoting various forms of interaction between school and family to reinforce ideological education. As the wartime regime intensified, the space for women’s education - originally aimed at producing the Japanese ideal of the “Good Wife, Wise Mothe” - shifted to serve as a vanguard for labor mobilization. In this process, individual students’ aspirations were subordinated to the survival needs of the wartime state. The career paths of graduates -who had once dreamed of becoming “Good Wives, Wise Mothers” or professional women -were increasingly redirected and transformed under the slogan of Naeseon Ilche toward the figure of the “social wife(社會婦人)” envisioned by the state.
목차
Ⅰ. 머리말
Ⅱ. ‘내선공학’ 시행과 무학공립고등여학교의 설립
Ⅲ. ‘황국여성’ 양성 교육의 실제
Ⅳ. ‘직업부인’ 열망의 굴절과 ‘사회부인’의 역설
Ⅴ. 맺음말
Bibliography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