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불무인감시카메라의 가시권 분석에 기반한 최적 위치 선정 방법 고찰 - 김천시 사례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Optimal Location Selection Method for Forest Fire Monitoring Cameras Based on Visibility Analysis - A Case Study in Gimcheon
발행기관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저자명
김남균(Nam Gyun Kim) 염찬호(Chan Ho Yeom) 이양원(Yang Won Lee) 서영민(Young Min Seo) 권춘근(Chun Geun Kwon) 전병희(Byong Hee Jun)
간행물 정보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4, 217~22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산불무인감시카메라의 최적 위치 선정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김천시 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산불무인감시카메라는 조망형 카메라를 기준으로 가시권 분석을 수행 하여 비가시 산림의 산불탐지영역 확장을 위한 추가 산불무인감시카메라의 위치를 제시하였다. 위치 선정에 고려된 인자는 읍·면·동 단위의 행정구역별 산림과 가시영역 및 탐지 비율을 고려하였고 1:5,000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넓은 시야가 확보되는 위치를 고려하였다. 산불무인감시카메라 대수의 증가에 따라 가시영역은 증가하지만 중복되는 가시영역도 함께 높아지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산불무인감시카메라의 운영을 위한 안정적인 전원공급, 산림 내외의 주요 보호 시설물, 산불 위험도가 높은 지역 등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pose a method for selecting the optimal locations for unmanned forest fire monitoring cameras, focusing on Gimcheon, Gyeongsangbuk-do. A visi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panoramic cameras, and additional locations for unmanned forest fire monitoring cameras were suggested to expand fire detecton coverage in non-visible forest areas. Factors considered for site selection included forest areas, visibility coverage, and detection rates by administrative districts. Additionally, locations with wide visibility were identified using a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While increasing the number of cameras expands the visibility area, it also leads to greater overlap, necessitating efficient placement. Furthermore, stable power supply, key protective facilities within and outside the forest, and high-risk forest fire areas must be conside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지역 및 방법
Ⅲ. 가시권 분석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International Transactions in Operational Research
  • Proceeding of TIEMS (The Inter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ociety)
  • Geofizika
  • IEEE Transactions on Wireless Communications
  • IEEE Access
  • Journal of Korean Society Hazard Mitigation
  •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Computer Science
  •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 Journal of Research of the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Section B-Mathematical Science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대한지리학회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균(Nam Gyun Kim),염찬호(Chan Ho Yeom),이양원(Yang Won Lee),서영민(Young Min Seo),권춘근(Chun Geun Kwon),전병희(Byong Hee Jun). (2025).산불무인감시카메라의 가시권 분석에 기반한 최적 위치 선정 방법 고찰 - 김천시 사례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21 (4), 217-226

MLA

김남균(Nam Gyun Kim),염찬호(Chan Ho Yeom),이양원(Yang Won Lee),서영민(Young Min Seo),권춘근(Chun Geun Kwon),전병희(Byong Hee Jun). "산불무인감시카메라의 가시권 분석에 기반한 최적 위치 선정 방법 고찰 - 김천시 사례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21.4(2025): 217-22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