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Quality of Life among Young Adults : Examining the Mediating Role of Anomie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권진(Jin Kwon) 문진영(Jin Young M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4, 73~8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청년층이 경험하는 사회적 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아노미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20-39세 청년 515명을 대상으 로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불안은 아노미를 완전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하 지 않았으나, 아노미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 또한 교육 수준과 고용 상태가 아노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청년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는 사회적 불안의 완화와 함께 아노미 현상에 대한 체계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청년 문제에 대한 구조적 접근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통합적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social anxiety on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young adults and empirically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anomie in this relationshi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515 young adults aged 20-39 years across the country. The analysis revealed that anomie fu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quality of life. While the direct effect of social anxiety on quality of life was not significant, the indirect effect through anomi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education level and employment statu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anomi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mproving young adults' quality of life requires not only alleviating social anxiety but also systematic intervention in anomic condi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structural approaches to youth issues and proposing the need for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실증 결과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