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ise of Indian Hindu Nationalism and the Challenges of Education on Religious Pluralism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이춘호(Choonh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9권 제4호, 705~7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2014년 모디 정부 출범 이후 인도에서 힌두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종교 다원주의 정체성이 위협받고 있다. 본 논문은 힌두 중심 이데올로기가 교육 정책, 교과서 개정, 소수 종교 교육 기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인도는 오랜 역사를 통해 다종교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헌법적으로 세속주의를 표방해 왔으나, 힌두 민족주의는 교육을 이데올로기 재생산의 장으로 활용하여 특정 종교 이념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역사 교과서에서 이슬람 통치자에 대한 서술을 축소하거나, 소수 종교 교육 기관을 규제하는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공교육 및 시민사회에서는 종교 간 이해와 평화적 공존을 증진하는 종교 다원주의 교육 사례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교육 모델은 학생 참여 중심의 체험 학습과 지역 사회와의 협력을 특징으로 한다. 본 논문은 힌두 민족주의의 편향성에 대응하고, 인도의 다원적 가치를 수호하기 위한 교육의 역할과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challenges to India's religious pluralist identity since the 2014 Modi government, driven by the rise of Hindu nationalism. It crit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Hindu-centric ideology on educational policies, textbook revisions, and minority religious institutions. The research also presents practical examples of religious pluralism education within India's public education system and civil society, exploring their potential to foster interfaith understanding and peaceful coexistence. Ultimately, this study proposes the crucial role of education and policy recommendations to safeguard India's secular values and maintain its pluralistic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인도의 종교 구성과 역사적 공존의 전통
Ⅳ. 힌두 민족주의와 교육 정책의 변화
Ⅴ. 인도 종교 다원주의 교육의 실제와 사례
Ⅵ.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