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Changes in Japanese companies’ FDI Strategies in South Korea: Focusing on Gradual Internationalization and Co-opetition
- 발행기관
- 한국경영사학회
- 저자명
- 윤희상(Heesang Yoon) 박영렬(Young-Ryeol Park) 박정민(Jung-Min Park)
- 간행물 정보
- 『경영사연구(경영사학)』제40집 제3호(통권115호), 113~13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본 기업의 한국에 대한 해외직접투자(FDI)가 시대적ㆍ경제적ㆍ정치적 맥락 속에서 어떤 모습을 보였는지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주제는 일본 기업의 FDI가 한국 경제의 산업 구조 및 양국 간 경제 협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 그 전략적 진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1962년부터 2024년까지의 시계열데이터를 활용하고, 특히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일본기업의 대한국 투자가 본격적으로 확대된 점을 고려하여 시대적 흐름을 「태동기(1962년~1993년)」, 「성장기(1994 년~1999년), 「재조정기(2000년~2013년), 「혁신기(2014년~현재)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주요 경제적ㆍ정치적 사건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시기별로 산업별투자 패턴, 투자 형태, 지역적 분포의 특성을 도출하고, 일본 기업의 투자 전략 변화에 영향을 미친 제도적 요인과 경제적 맥락을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태동기」에는 일본 기업이 한국을 노동집약적 제조업의 생산기지로 활용하여 섬유, 전자, 자동차 부품 등에 투자하였고, 「성장기」에는 플라자 합의 이후 엔화 절상과 한국 내수 시장 확대에 따라 고부가가치 제조업 및 서비스업으로 투자 영역이 확장되었다. 다음으로 「재조정기」에는 외환위기 여파로 ICT와 금융 서비스 중심의 투자 다각화가 이루어졌고, 마지막으로 「혁신기」 에는 첨단 기술 산업으로 투자 중점이 이동하면서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바이오 등 고도화된 산업 분야에서 협력과 경쟁이 병행되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일본 기업의 한국에 대한 FDI가 시대적 흐름과 경제적ㆍ정치적 사건에 따라 투자 전략이 변화되어 왔음을 보여준다. 특히, 일본 기업의 한국에 대한 FDI가 한국 경제 발전 및 산업 다각화에 기여하며, 한일 간 지속가능한 경제 협력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강조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일본의 투자 변화와 한국의 대응 전략을 분석하여, 양국 간 경제 협력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고 정책적ㆍ학문적 통찰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volution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from Japan to South Korea under changing temporal, economic, and political conditions. Using time-series data from 1962 to 2024, it identifies four phases: the initial period (1962~1993), expansion (1994~1999), restructuring (2000~2013), and innovation (2014~present). In the initial phase, Japanese firms invested in labor-intensive industries such as textiles, electronics, and auto parts, positioning South Korea as a pro- duction base. The expansion phase marked a shift toward high-value- added manufacturing and services. The restructuring phase involved diversification in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and finance. The innovation phase saw investment in high-tech industries, including semiconductors, electric vehicle (EV) batteries, and biotechnology. These changes reflect Japan’s adaptability to economic trends and bilateral dynamics, contributing to South Korea’s industrial upgrading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study offers insights into Japan’s investment strategi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b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일본 기업의 한국에 대한 해외직접투자 변화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