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establishment of the Right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Data i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 발행기관
-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 저자명
- 김송옥(Song-Ok Kim)
- 간행물 정보
- 『세계헌법연구』第31卷 第2號, 101~13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헌법재판소가 제시한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그 제한에 관한 법리에 따르면,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란 “자신에 관한 정보가 언제 누구에게 어느 범위까지 알려지고 또 이용되도록 할 것인지를 그 정보주체가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이며, ‘개인정보의 처리’는 모두 원칙적으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제한”에 해당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헌법재판소의 법리가 과연 타당한지, 나아가 지능정보사회에서도 유효한지 의문을 제기한다.
위와 같은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개념은 1967년 출간된 웨스틴의 저서, 「프라이버시와 자유」에서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정의와 거의 유사하다. 웨스틴의 철학이 세계 각국의 개인정보보호법제에 기반이 된 것은 분명하지만 그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정의는 정보 프라이버시권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웨스틴은 일반적인 프라이버시권을 정의했으나 헌법재판소가 이를 개인정보자기결정권으로 치환함으로써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은 그 본래 의미와 멀어진 권리로 한국 사회에 자리매김하게 된다.
또한 개인정보의 처리는 곧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제한이라는 법리는 아무런 법익 침해의 위험성이 없는 정보의 처리도 위헌성을 추정하고 그러한 처리가 헌법원칙에 의해 정당화한 경우에만 허용된다는 점에서 지나친 측면이 있다. 예컨대, 재난 상황에서 실종자를 찾기 위한 위치정보 활용까지 그 실종자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제한한다고 보게 되면 수색 당국의 기동성은 떨어지고 골든타임을 놓칠 수도 있는 것이다. 그 밖에 병역, 과세, 선거, 복지 등 국가의 정상적이고 효율적인 기능 수행을 위하여 개인정보의 처리가 필수적이고, 오늘날의 업무수행은 곧 정보통신기술을 통한 정보처리의 방식으로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개념과 내용을 재정립하였다. 그것은 자신의 정보에 대한 ‘자기결정권’이 아닌 정보처리 과정에의 ‘참여권’이자, 감시사회에 대한 방어기제로서 국가에 의한 정보처리의 오・남용을 통제할 수 있는 역감시권이다. 이러한 개념을 고려할 때, 개인정보의 처리가 곧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제한이 아니라 정보주체의 합리적 기대(reasonable expectations)를 벗어난 개인정보의 임의적 처리가 곧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대한 제한을 구성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al Court’s holding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its limitations, this is “the right of the data subject to determine for oneself when, to whom, and to what extent information concerning him or her is disclosed and used,” and “processing of personal data” in principle constitutes a “restriction” on this right. This article questions whether such reasoning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s indeed valid, and further, whether it remains applicable in the era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 above concept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closely similar to the definition of “privacy” presented in Alan Westin’s book 「Privacy and Freedom」 in 1967. It is clear that Westin’s philosophy has served as a foundation for data protection laws of countries around the world, but his definition of privacy is not limited to the right to informational privacy. Westin defined a general right to privacy, but the Constitutional Court replaced it with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as a result, it became established in Korean society as a right that has diverged from its original meaning.
Furthermore, the principle that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automatically constitutes a restriction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excessive in that it presumes unconstitutionality even for the processing of data that poses no risk of harm to any legal interest, allowing such processing only when justified under constitutional principles. For example, if even the use of location data to find a missing person in a disaster situation is deemed to restrict that person’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e mobility of the search authorities will be reduced, and they may miss the golden time. In addition,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is essential for the normal and efficient performance of state functions, such as military service, taxation, elections, and welfare, and that today’s operations are carried out through the processing of data via ICT.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article redefines the concept and content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t is not a “right of self-determination” over data concerning oneself, but rather a “right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data processing, and a counter-surveillance right that can control the misuse and abuse of data processing by the state as a defensive mechanism against the surveillance society. Considering this concept, the processing of personal data should not be regarded as a restriction on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er se; rather, arbitrary processing of personal data that departs from the data subject’s reasonable expectations should be considered a restriction on that righ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지능정보기술의 활용과 데이터 생태계의 변화
Ⅲ.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 관련한 법리의 문제점과 한계
Ⅳ. 헌법상 보장되는 기본권으로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재정립
Ⅴ.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