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수색에 관한 입법적 과제 - 헌법재판소 결정 분석과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Legislative Challenges in Regulating Online Searches : An Analysis of Constitutional Court Rulings and Comparative Legal Perspectives
발행기관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저자명
백수원(Soowon Baek)
간행물 정보
『세계헌법연구』第31卷 第2號, 71~1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디지털 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수사기관의 정보 수집 방식에도 구조적 전환을 초래하였다. 특히 온라인 수색은 기존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수색 개념을 전자적 영역으로 확장시키며, 사생활의 비밀, 통신의 자유, 개인정보 자기결정권 등 헌법상 기본권을 심각하게 위협할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현행 형사소송법과 통신비밀보호법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온라인 수색에 대한 체계적 입법이 부재한 상태다. 온라인 수색은 악성코드 이용, 클라우드 저장소 접근, 실시간 통신 패킷 분석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전통적인 수색과 비교했을 때 대상, 방식, 통제 가능성 측면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전통적 수색이 물리적 장소와 유형물에 국한된다면, 온라인 수색은 가상공간과 무형정보를 대상으로 하며, 비대면적이고 비가시적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실시간 감시와 사법적 통제가 매우 어렵다. 그로 인해 침해 범위도 광범위하고 정보주체의 권리 보호는 더 어려워진다. 헌법재판소는 온라인 수색과 관련하여 명확한 기준을 정립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온라인 수색에 대한 헌법적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시도로 독일, 미국, 영국, 프랑스, 일본의 입법례와 판례들이 검토되었다. 독일은 정보기술시스템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장받을 권리를 헌법상 기본권으로 인정하며, 온라인 수색의 경우 사전적 사법통제와 생명・신체 위험성 요건을 명시하였다. 미국은 수정헌법 제4조를 통해 원칙적으로 영장을 요하지만, 제3자 예외이론이나 FISA와 같은 국가안보 목적의 예외 규정이 존재하며, Carpenter 사건 등을 통해 디지털 정보의 보호 기준을 새롭게 정립해 나가고 있다. 영국은 「수사권한법 2016」을 통해 이중 통제 체계를 마련하였고, 유럽인권재판소는 관련 판결을 통해 통신감시의 법적 한계를 설정하였다. 프랑스는 형사소송법상 고등법원의 사전 승인을 요하며, 통지 의무와 비례성 원칙을 강조한다. 일본은 관련 명확한 입법은 없으나, 실무상 해석으로 온라인 수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법조계 내부에서는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 온라인 수색에 대한 명시적 입법이 존재하지 않아 기관별 해석에 따라 운용이 상이하며, 영장 신청 시 압수 대상 특정성, 원격 접근 기술 명기 여부, 정보주체 통지 절차 등에서 일관성이 부족하다. 이는 법적 예측 가능성과 기본권 보호라는 측면에서 중대한 문제로 지적된다. 따라서 향후 입법에서는 온라인 수색의 정의와 범위를 명확히 하고, 사전적 사법 통제, 정보주체 통지권 보장, 기술적 중립성 원칙, 독립 감시기구의 설립, 무결성 검증 절차 마련 등 헌법적 통제 기준을 반영한 체계적 법제화가 필요하다. 이는 디지털 시대에 부합하는 새로운 수사 규범 확립을 위한 필수 과제로 평가된다.

영문 초록

The rapid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a structural transformation in the way investigative authorities collect information. In particular, online searches have extended the concept of searches from physical spaces to the electronic realm, posing a significant threat to constitutionally protected fundamental rights such as the right to privacy, the freedom of communication, and the right to informational self-determination. However, the current Criminal Procedure Act and the Protection of Communications Secrets Act have failed to keep pace with these developments, and a systematic legislative framework for online searches remains absent. Online searches can b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cluding the use of malicious code, access to cloud storage, and real-time analysis of communication packets. Compared with traditional searches, they differ substantially in terms of their targets, methods, and the feasibility of oversight. While traditional searches are confined to physical locations and tangible objects, online searches target virtual spaces and intangible information, and are conducted in a non-face-to-face, invisible manner, making real-time monitoring and judicial control extremely difficult. As a result, the scope of potential infringement is extensive, and protecting the rights of data subjects becomes even more challenging.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yet to establish clear standards regarding online searches. Against this backdrop, legislative frameworks and judicial precedents from Germany,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France, and Japan have been examined in an attempt to formulate constitutional criteria for online searches. Germany recognizes the right to guarantee the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systems as a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 and explicitly stipulates the requirements of prior judicial control and threats to life or physical safety in the context of online searches. In the United States, the Fourth Amendment generally requires a warrant, but exceptions exist for third-party doctrine and national security purposes, such as under the Foreign Intelligence Surveillance Act (FISA). Recent cases, including Carpenter v. United States, have redefined the standards for the protection of digital information. The United Kingdom has established a dual-control framework through the Investigatory Powers Act 2016, while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has set legal limits on communication surveillance through its case law. In France, prior approval from the High Court is required under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with an emphasis on the duty to notify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Japan lacks clear legislation on the matter, and online searches are conducted based on practical interpretation, which has drawn considerable concern within the legal community. In South Korea, the absence of explicit legislation on online searches has resulted in inconsistent practices across institutions, with a lack of uniformity in areas such as the specificity of seizure targets in warrant applications, whether remote access technologies are explicitly stated, and procedures for notifying data subjects. This inconsistency poses serious problems for legal predictability and the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s. Accordingly, future legislation should clearly define the scope and concept of online searches, ensure prior judicial control, guarantee the right of notification for data subjects, uphold the principle of technological neutrality, establish an independent oversight body, and provide for procedures to verify data integrity. Such measures are essential for institutionalizing constitutional safeguards and establishing a new framework for criminal investigations that is appropriate for the digital age.

목차

Ⅰ. 서론
Ⅱ. 온라인 수색의 특성과 기본권
Ⅲ. 우리나라의 법적 근거 및 체계
Ⅳ. 온라인 수색과 관련된 국내외 판례 분석 및 입법안 제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수원(Soowon Baek). (2025).온라인 수색에 관한 입법적 과제 - 헌법재판소 결정 분석과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세계헌법연구, 31 (2), 71-100

MLA

백수원(Soowon Baek). "온라인 수색에 관한 입법적 과제 - 헌법재판소 결정 분석과 비교법적 고찰을 중심으로." 세계헌법연구, 31.2(2025): 71-100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