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균열의 재구성: 2025 대선과 진보-보수의 이념 지형

이용수 6

영문명
Ideological Cleavages and Voter Choice: Mapping the Ideological Landscape in South Korea's 2025 Presidential Election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저자명
구세진(Sejin Koo)
간행물 정보
『국가와 정치』제31집 2호, 71~118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5년 보궐대선에서 이념적 균열이 유권자의 투표 선택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일차원적인 진보-보수 이념 스펙트럼이 오늘날 한국 유권자의 복잡한 이념 지형을 충분히 포착하지 못한다는 점에 주목하고, 복수의 정책 태도 문항을 활용한 다차원 문항반응이론(MIRT)을 통해 경제안보와 사회문화라는 두 가지 독립적 이념 차원을 추출하였다. 분석 결과,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후보 투표층은 경제안보 차원에서 좌우로 넓게 분포하며 다소 구분되는 한편, 중도 영역에서는 상당 부분 중첩되는 양상을 보였다. 반면, 신생정당 이준석 후보의 투표층은 경제안보 차원에서는 중도에 밀집된 모습을 보였으나, 사회문화 차원에서는 뚜렷한 보수적 성향을 나타냈다. 특히, 청년층에서 사회문화적 차원을 중심으로 새로운 이념적 분화가 두드러졌다. 이념과 투표선택 간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경제안보 이념 뿐 아니라 사회문화적 차원의 이념 성향도 유권자의 투표 결정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정치의 이념 구조가 전통적 경제안보 이슈를 넘어 사회문화적 이슈로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하며, 이에 따른 새로운 정치 균열의 형성과 유권자의 이념적 재편 가능성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ideological cleavages on vote choice in South Korea’s 2025 presidential by-election. Acknowledging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unidimensional spectrum of ideology in capturing the complexity of contemporary Korean voter ideology, the study employs multidimensional item response theory (MIRT) using multiple policy attitude questions. The analysis identifies two distinct ideological dimensions: economic-security and socio-cultural. Results show that voters for Lee Jae-myung(Democratic Party of Korea) and Kim Moon-soo(People Power Party) are relatively well-separated along the economic-security dimension yet overlap to a meaningful extent around the ideological center. Conversely, voters for Junseok Lee, a candidate from a newly established party, cluster near the center on the economic-security dimension yet exhibit pronounced conservatism on socio-cultural issues. Notably, young voters demonstrate heightened ideological differentiation, particularly on the socio-cultural dimension. Statistical analyses confirm that voter choice is influenced not only by economic-security issues but also significantly by socio-cultural ideological orient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deological structure of Korean politics is extending beyond traditional economic-security concerns toward socio-cultural issues, highlighting the emergence of a new political cleavage and potential ideological realignment among vot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
Ⅲ. 데이터와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세진(Sejin Koo). (2025).균열의 재구성: 2025 대선과 진보-보수의 이념 지형. 국가와 정치, 31 (2), 71-118

MLA

구세진(Sejin Koo). "균열의 재구성: 2025 대선과 진보-보수의 이념 지형." 국가와 정치, 31.2(2025): 71-11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