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일 과학기술협력 60년의 회고와 전망 -공진화 분석을 통한 전략적 협력 전환 방안 모색

이용수 0

영문명
Sixty Years of Korea-Japa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operation - A Strategic Transition through a Co-evolutionary Analysis
발행기관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저자명
최해옥(HaeOk Choi)
간행물 정보
『동북아경제연구』第37卷 第2號, 117~14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일 과학기술협력은 1965년 국교정상화 이후 60년간 일방적 기술 이전에서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진화해 온 대표적인 국제협력 사례이다. 본 연구는 공진화(co-evolution) 이론을 적용하여 기술·조직·제도 간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의 구조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 발전 과정은 네 단계로 구분된다. 제1기(1965-1985년)는 일본 기술 중심의 수직적 협력으로 한국의 중화학공업 기반이 조성되었고, 제2기(1985-2000년)는 제도적 협력체계 구축과 함께 상호호혜적 관계로전환되었다. 제3기(2000-2019년)는 정치적 갈등으로 정부 간 협력이 위축되었으나민간 협력은 지속되었으며, 제4기(2019년 이후)는 경제안보 중심의 전략기술 협력이 본격화되었다. 분석을 통해 한일 과학기술협력이 단순한 선형적 발전이 아닌 복잡적응시스템의 공진화적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양국은 외부 환경 변화에 상호 적응하며 학습해왔고, 정치적 갈등이 협력 생태계에 선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회복탄력성 메커니즘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향후 지속가능한 협력을 위해 세 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과학기술 분야의 정치적 독립성 보장, 전략기술 중심의미래 지향적 협력 확대, 다층적 거버넌스 체계 구축이다. 이를 통해 한일 과학기술협력이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모범사례로서 글로벌 기술 거버넌스 발전에 기여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Korea-Japa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operation over the past 60 years since diplomatic normalization in 1965 represents a paradigmatic case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that has evolved from unilateral technology transfer to strategic partnership. This study applies co-evolution theory to analyze structural changes in cooper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of technology, organization, and institution. The research identifies four distinct phases of cooperative development. Phase 1 (1965- 1985) was characterized by vertical cooperation centered on Japanese technology, establishing Korea's heavy and chemical industrial base. Phase 2 (1985-2000) witnessed the transition to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with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al cooperative frameworks. Phase 3 (2000-2019) saw government-level cooperation constrained by political conflicts, while private-sector collaboration continued. Phase 4 (2019-present) has been marked by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strategic technology cooperation centered on economic security. The analysis confirms that Korea-Japa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operation exhibits co-evolutionary characteristics of a complex adaptive system rather than simple linear development. Both countries have adapted and learned from each other in response to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demonstrating resilience mechanisms where political conflicts selectively impact cooperation ecosystems. This study proposes three policy directions for sustainable cooperation: ensuring political independence of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sector, expanding future-oriented cooperation centered on strategic technologies, and establishing multilayered governance systems. Through these measures, Korea-Japa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operation is expected to serve as an exemplary model of 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global technology governanc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한일 과학기술협력 진화과정 및 특징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해옥(HaeOk Choi). (2025).한일 과학기술협력 60년의 회고와 전망 -공진화 분석을 통한 전략적 협력 전환 방안 모색. 동북아경제연구, 37 (2), 117-141

MLA

최해옥(HaeOk Choi). "한일 과학기술협력 60년의 회고와 전망 -공진화 분석을 통한 전략적 협력 전환 방안 모색." 동북아경제연구, 37.2(2025): 117-14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