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Inclusive Education in Jeju - Focusing on First- and Second-Year Students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연준모(Joonmo Yun)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4권, 247~2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초등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우려를 분석함으로써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현재 제주 지역 교육대학의 1,2학년 예비 초등교사 139명이었다. 설문의 주요 내용은 교직 선택동기, 장애인에 대한 불편감,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통합교육에 대한 우려 등이었 다. 이어서 이러한 조사 결과에 대하여 성별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변인 간 상관관계와 함께 통합교육에 대한 우려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 선택의 동기는 물질적 동기가 가장 높았다. 둘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행동 문제를 지니는 학생에 대한 통합교육에 가장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셋째, 통합교육에 대한 우려에 있어서는 업무과다에 대한 우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합교육에 대한 우려를 종속변인으로 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장애관련 독서경험, 교직 선택에 대한 능동적 동기, 장애인에 대한 불편감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어서 분석 결과에 따른 논의사항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perception of inclusive education by analyzing the attitudes and concer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39 first and second-yea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a teachers' college in Jeju region. The main contents of the survey included motives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discomfort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attitude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and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Subsequently, the study analyz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se survey results based on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grade level. It also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First, the most prominent motive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was material motivation. Second, regarding attitudes towards inclusive education, participants showed the most passive attitude towards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behavioral problems. Third, concerning inclusive education, the highest level of concern was about work overload. Last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as the dependent variable revealed that disability-related reading experience, activ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discomfort towards people with disabiliti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measures need to be developed to reduc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