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Wetlands by Type and Local Community Use in Seonheulgotjawal(lava land)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고제량(Jeryang Ko)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4권, 173~19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선흘곶자왈 내 주민 이용이 많던 39개 습지를 조사하여, 지역별 분포, 유형별 특성, 상수도 설치와 습지보호지역 지정 전후 주민 이용에 대한 변화 양상을 정리했다. 습지는 동백동산 지역에 다수 분포하며, 습지 유형은 자연습지와 인공습지로 구분된다. 자연습지는 빗물로 형성된 봉천수와 지하수가 솟는 용천수로 구분되며, 봉천 수는 다시 암반 위 형성된 습지 등 4가지 유형으로 세분했다. 인공습지는 공동 작업으로 조성된 1개 유형이 조사됐다. 주민 이용에 대한 구분은 음용수 등 8가지와 나병 환자만 독점 사용했던 유형 1가지 포함 총 9개 유형이다.
1970년대 초 상수도 설치 이후 선흘1리 주민들은 곶자왈 내 습지의 물 이용을 중단 했고, 마을과 습지 간의 관계도 단절된다. 이후 2010년 11월 동백동산이 습지보호지역 으로 지정되면서 마을은 다시 습지와의 관계를 회복한다. 주민들은 과거에 물과 나무등 자연물만 채취했다면, 현재는 생태관광·생태교육 등 문화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습지의 주민 이용이 적극적이고 다양해지는 시기에 과거 이용이 많았던 습지를 조사 기록하는 것은 습지를 유산으로 재인식하고 주민 주도 보전방안을 마련하는 발전의 계기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39 wetlands in Seonheulgotjawal that were heavily used by residents, organizing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regional distribution, wetland types, and resident usage. Additionally, changes in resident usage before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water supply systems and before and after the designation of wetland protection areas were recorded. The wetlands are distributed in large numbers in and around Dongbaekdongsan, and wetland types were classified into natural wetlands and artificial wetlands. Natural wetlands were classified into ponded rainwater formed by rainwater and spring water emerging from groundwater, with ponded rainwater further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cluding formation on bedrock. Artificial wetlands consist of one type created through collective work by residents. Resident usage was classified into eight types including drinking water and one type used exclusively by leprosy patients, totaling nine types. After the installation of water supply systems in the early 1970s, residents of Seonheul 1-ri stopped using wetland wat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llage and wetlands was severed. Later, in November 2010, Dongbaekdongsan was designated as a wetland protection area, and the village restored its relationship with the wetlands. Unlike the past when only natural resources such as water and trees were obtained, the wetlands are now being utilized as cultural resources for eco-tourism and ecological education. During this period when resident usage of wetlands is diversifying, investigating and recording wetlands that were heavily used in the pas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evaluate wetlands as heritage and establish conservation measures.
목차
Ⅰ. 서론
Ⅱ. 선흘곶자왈 내 습지의 분포
Ⅲ. 유형별 습지의 특성
Ⅳ. 주민들의 습지 이용 실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