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oretical Establishment of Meaningful Tourism and Exploration of its Applicability in Korea
- 발행기관
- 융합관광콘텐츠학회
- 저자명
- 이윤정(Yoon Jung Lee)
- 간행물 정보
-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1권 제3호, 99~11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등장한 새로운 이론적 틀로서 ‘의미관광(Meaningful Tourism)’ 개념의 이론적 기반과 이를 한국 사회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의의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기존에 존재했던 신관광 시대 담론인 지속가능관광, 공정관광, 대안관광 등 유사 개념들과의 비교를 통해 의미관광의 이론적 차별성과 구성 요소를 분석하였다. 동시에 한국 사회의 문화적 뿌리에 의미관광 논의를 적용시켜 한국사회의 적용 가능성을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결과 의미관광은 자아성찰, 타자와의 관계적 윤리, 삶의 가치관의 전환을 중시하는 관광 개념으로, 한국의 공동체 중심적 정서 및 관계를 중시하는 삶의 태도와 많은 부분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의미관광은 힐링, 회복과 같은 삶의 질적인 부분을 중시하는 현대 관광의 수요와도 맞닿아 있기 때문에 향후 관광정책이나 관광과 관련한 교육의 방향을 새롭게 설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결론 의미관광은 관광을 삶의 근원적 질문으로 연결시켜주는 관광의 실천적 패러다임이다. 성과 중심,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 등은 2000년대 이후의 한국사회를 피폐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한국 관광학은 지금까지 정량적 수치에 중점을 두고, 환원적이고 피상적인 관광학 연구의 틀을 벗어날 필요가 있다. 앞으로는 의미관광의 패러다임을 통해 관광 관련자들의 감정이나 관계, 윤리와 같은 수치화 하기 어려운 것들에 주목해야 하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삶과 공동체를 지향하는 새로운 관광학의 또다른 비전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Meaningful Tourism,” which has gained attention as a new theoretical framework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It explores its applicability and significance within Korean society based on cultural and philosophical alignment.
Methods The study compares meaningful tourism with existing paradigms such as sustainable, fair, and alternative tourism to clarify its theoretical distinctiveness. It also reviews Korea’s socio-cultural context to assess the concept’s practical relevance.
Results Meaningful tourism emphasizes self-reflection, relational ethics, and value transformation, resonating with Korea’s communal values and emotional culture. It also aligns with rising tourist demand for healing and restoration, offering implications for future tourism policy and education.
Conclusion Meaningful tourism represents a practical paradigm that repositions tourism as a response to existential inquiries. South Korea’s rapid industrialization and performance-oriented urban development have contributed to widespread emotional fatigue and social fragmentation. To move beyond quantitatively driven and reductionist approaches in tourism studies, Korean tourism scholarship must now foreground unquantifiable dimensions—such as emotion, ethical relations, and affective connections—through the lens of meaningful tourism, ultimately offering a renewed vision for sustainable living and collective well-being.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의미관광의 한국적 적용 가능성
4. 의미관광의 실천을 위한 전략적 제언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