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CSB 모델을 적용한 루양(洛陽) 박물관 관광객들의 XR 체험과 관광 만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pplication of SCSB Model for XR Experience and Tourist Satisfaction among Luoyang Museum Tourists
발행기관
융합관광콘텐츠학회
저자명
장옥선(Yu Xuan Zhang) 김정은(Jung Eun Kim)
간행물 정보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1권 제3호, 45~6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최근 디지털 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XR(xReality) 기술은 박물관과 다양한 문화 공간에서 관광 객의 체험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스웨덴 고객만족지수 (Swedish Customer Satisfaction Barometer, SCSB) 모델을 토대로, XR 기술이 관광객의 기대와 지각된 가치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를 통해 전반적 만족도, 불만 행동, 충성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를 분석 하였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루양 박물관 관광객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300부의 유효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관광객의 기대와 지각된 가치는 다차원적으로 세분하여 문화관광 분야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관광객의 기대와 지각된 가치 사이에는 유의한 정(+)의 관계가 확인되었고, 그 중에서도 몰입 경험에 대한 기대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지각된 가치 요인 가운데 감정 가치와 가격 가치가 만족도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실증 결과는 박물관 현장에서 XR 활용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시각을 제시하며, 향후 디지털 문화 체험 콘텐츠 설계 및 구현에 실질적인 이론적 지침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나아가, 문화 기술 개발 시 기술 혁신 뿐만 아니라 관광객의 정서적 공감과 가치 인식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함 으로써, 체험의 질 향상과 높은 충성도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With the rapid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ies, XR(xReality) has emerged as a key tool for enhancing tourist experiences and satisfaction in museums and various cultural spaces. Based on the Swedish Customer Satisfaction Barometer(SCSB)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how XR technolog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tourists’ expectations and perceived value, and in turn, how these factors affect overall satisfaction, complaint behavior, and loyalty. Metho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08 visitors to the Luoyang Museum, of which 300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Tourists’ expectations and perceived value were operationalized as multidimensional constructs, allowing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ir applicability and validity in the context of cultural tourism.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 expectations and perceived value, with immersion expectations exerting the strongest effect on satisfaction. Among the components of perceived value, emotional value and price value were found to play critical roles in shaping overall satisfaction. Conclusion The empirical findings provide a framework for systematically evaluating XR applications in museum settings and offer practical and theoretical guidance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digital cultural experience content. Moreover,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not only technological innovation but also tourists’ emotional engagement and value perception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technologies, suggesting that attention to these factors can enhance experience quality and foster higher tourist loyalty.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ology
4. Results
5.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옥선(Yu Xuan Zhang),김정은(Jung Eun Kim). (2025).SCSB 모델을 적용한 루양(洛陽) 박물관 관광객들의 XR 체험과 관광 만족 연구. 융합관광콘텐츠연구, 11 (3), 45-64

MLA

장옥선(Yu Xuan Zhang),김정은(Jung Eun Kim). "SCSB 모델을 적용한 루양(洛陽) 박물관 관광객들의 XR 체험과 관광 만족 연구." 융합관광콘텐츠연구, 11.3(2025): 45-6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