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마트관광 척도개발: 항공산업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Development of a Smart Tourism Service Scale: Focusing on the Airline Industry
발행기관
융합관광콘텐츠학회
저자명
박소영(So Young Park) 윤한성(Han Sung Yun)
간행물 정보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1권 제3호, 5~2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항공산업에서 스마트관광서비스 경험을 체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뢰성 있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마트관광서비스 개념을 구조화하여 해당 산업 내 고객 경험을 평가할 수 있는 포괄적 도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정성적 및 정량적 분석을 병행한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정성적 단계에서는 네이버 카페, 블로그, 항공사 리뷰 게시판 등에서 1,500여 건의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웹 크롤링으로 수집하여 NVivo9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주제 분석을 통해 주요 속성과 예비 구성차원을 도출하였다. 정량적 단계에서는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통해 척도의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최종적으로 항공산업 스마트관광서비스 척도는 5가지 구성차원으로 정립되었다. 첫째, 스마트인프라는 무인 키오스크, 모바일 탑승권 등 기술 기반 인프라를 평가한다. 둘째, 편의성은 서비스 이용 편리성과 직관성을 포함한다. 셋째, 개인화는 이용자 맞춤형 정보와 알림 서비스를 평가한다. 넷째, 상호작용성은 실시간 소통과 시스템 반응성을 측정하며, 마지막으로 보안성은 개인정보 및 결제 정보 보호 수준을 포함한다. 결론 본 연구는 항공산업 내 스마트관광서비스를 다차원적으로 구조화함으로써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고, 실제 이용자 경험을 반영한 데이터 기반 척도 개발이라는 방법론적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scale for smart tourism service experiences in the airline industry. By structuring the concept of smart tourism services, the study seeks to provide a comprehensive tool to systematically evaluate customer experiences in this specific context. Methods A mixed-method approach was employed, comb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Qualitatively, over 1,500 online texts from platforms such as Naver cafes, blogs, and airline review boards were collected through web crawling and analyzed thematically using NVivo9 software to identify key attributes and preliminary dimensions. Quantitatively, surve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o validate the scale’s structure. Results The final smart tourism scale for the airline industry consists of five dimensions: (1) Smart Infrastructure, assessing technological facilities like kiosks and mobile boarding passes; (2) Convenience, referring to ease of use and intuitive service processes; (3) Personalization, evaluating customized services based on user preferences; (4) Interactivity, measuring real-time communication and responsiveness; and (5) Security, focusing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and payment information. Conclusion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oretical advancement by multidimensionally structuring smart tourism services within the airline industry and holds methodological significance in developing a data-driven scale that reflects actual user experience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영(So Young Park),윤한성(Han Sung Yun). (2025).스마트관광 척도개발: 항공산업을 중심으로. 융합관광콘텐츠연구, 11 (3), 5-22

MLA

박소영(So Young Park),윤한성(Han Sung Yun). "스마트관광 척도개발: 항공산업을 중심으로." 융합관광콘텐츠연구, 11.3(2025): 5-22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