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Brief Analysis of Lee Bok-won(李福源)’s Guangewen(館閣文)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 저자명
- 최솔잎(Solip Choi)
- 간행물 정보
- 『대동한문학』第83輯, 213~264쪽, 전체 5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정조 대 관각문인 이복원의 관각문을 중심으로, 그의 수사 전략과 문체 활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조의 정치적 기획과 문학적 구상이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복원은 연안 이씨 판사공파의 문한 전통을 계승하고 소론 계열의 정치적 입장을 유지한 인물로, 정조 즉위 이후 초대 규장각 제학으로 발탁되어 국왕의 문예 정치 구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그의 관각문은 정조의 언술을 충실히 수용하되, 내용을 정교하게 부연하며 제도적·도의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었다. 『규장각지』, 『선원계보기략』 등의 발문에서 그는 송·명 양조의 제도를 근거로 규장각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유교 경전의 원리를 활용해 정조 문치 이념의 제도화를 도모하였다. 특히 사도세자 추존과 관련된 의례문에서는 국왕의 정치적 곤란을 수사적으로 보완하고, 효와 의리의 담론을 재구성하는 글쓰기를 통해 정조의 의도를 문학적으로 뒷받침하였다.
이복원의 글쓰기는 정조의 문체 규범화 정책에 부응하는 동시에 자신의 학문적 역량과 문장의 품격을 드러내고 이를 정치적으로 활용하려는 전략적 실천이었다. 이는 관각문이 단순한 문체 운용을 넘어, 국왕이 주도하는 문예질서 속에서 정치적 의미를 구성하고 문학적 위상을 재정립하는 통로로 기능하였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복원의 관각문을 통해 조선 후기 문학과 정치가 어떻게 교섭하고 상호 매개되었는지 구체적으로 조명하였으며, 권력과 문학 사이의 상호작용을 해명하는 데 일조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Guangewen(館閣文) of Lee Bok-won(李福源), a leading scholar-official in the Kyujanggak(奎章閣) during King Jeongjo(正祖)’s reign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ing on Lee’s rhetorical strategies and stylistic choices, the paper explores how literary production functioned as a key instrument in implementing Jeongjo’s political visions and cultural initiatives.
Lee Bok-won, a member of the Yeonan Lee clan with a strong scholarly lineage and political affiliation with the Soron(少論) faction, rose to prominence as the first chief scholar[提學] of the Kyujanggak after Jeongjo’s accession. His writings, particularly prefaces in works such as Kyujanggakji(奎章閣志) and Seonwongyebo-Giryak(璿源系譜紀略), demonstrate a refined appropriation and elaboration of the king’s own writings. By grounding institutional legitimacy in the precedents of the Song(宋) and Ming(明) dynasties and invoking Confucian moral principles, Lee reinforced the ideological underpinnings of Jeongjo’s governance.
Notably, Lee contributed to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posthumous rehabilitation of Crown Prince Sado[思悼世子] by crafting texts that balanced political delicacy with moral clarity. His writings responded to Jeongjo’s rhetorical direction while subtly reconfiguring them to assert moral justification and institutional continuity.
Through this case study, the paper addresses two core questions: how state power shaped discursive practices in literary production, and how political affiliation and scholarly background left identifiable traces in literary form and content. Lee’s court writings reveal the Kyujanggak not merely as an archive or bureaucratic office, but as a cultural field where symbolic capital was negotiated. His texts illustrate how literature became a space of political intervention, institutional legitimation, and cultural competition in late Joseon court culture.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이복원의 가문, 학문·정치적 정체성
3. 이복원 관각문에서의 수사 전략과 문체 활용
4.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