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鶴峯 金誠一 『冊置簿』에 대한 小攷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f Chaekchibu by Hakbong Kim Seong-il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金榮鎭(Young-jin Kim) 王微笑(Weixiao Wang)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第83輯, 133~15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전기 私家의 장서 기록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그간 학계에 소개된 대표적 사례로는 晦齋 집안의 獨樂堂 서책 목록 낱장과 李文楗의 『默齋日記』 및 柳希春의 『眉庵日記』 속 관련 기록, 그리고 선조 19년(1586)에 작성된 裵三益·裵龍吉 부자의 『冊置簿』 등을 들 수 있다. 이 가운데 일정한 체계와 분량을 갖춘 사가 장서 목록으로 사실상 배삼익·배용길 부자의 『冊置簿』가 유일하다고 간주되어 왔다. 필자는 앞선 연구에서 현존 고서를 바탕으로 金緣·金富儀 부자의 장서를 부분적으로 복원하고 이를 배삼익·배용길 부자의 『冊置簿』와 비교함으로써 조선 전기 장서가의 장서 규모와 그 성격을 고찰하고자 시도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조선 시대 장서 목록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관심 속에서 최근 국사편찬위원회 소장 자료 중에서 鶴峯 金誠一(1538~1593)의 사가 장서 목록으로 선조 21년 『冊置簿』 1책을 새롭게 확인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새롭게 발굴한 김성일 관련 『冊置簿』를 연구 대상으로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과 의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해당 목록의 존재를 학계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그 작성자가 학봉 김성일이라는 점과, 시라카미 주키치(白神壽吉)가 갖고 있던 원본 자료는 현재 그 행방을 알 수 없고 일제강점기에 轉寫한 본이 조선사편수회를 거쳐 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된 경위를 밝혔다. 둘째, 총 8면으로 146종 998권의 서목이 기재되었는데 본서가 분류 체계 없이 임의로 기재되어 있는 바, 이를 경사자집 사부분류로 다시 귀속시킨 결과 경부 32종 248권, 사부 20종 316권, 자부 48종 178권, 집부 46종 256권이었다. 또, 중국본은 ‘唐本’ 또는 ‘唐板’으로 별도 표기하였는 바, 『近思錄』 등 총 7종이 이에 해당한다. 아울러 책을 대출해간 이를 기재하고 있으며 단 1건이지만 빌려온 원소장자를 기재하기도 하였다. 일부 서명 위에는 점을 찍어두었는데 이는 아마도 실제 서책이 남아있는지 대조하면서 확인하였다는 의미로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배삼익·배용길 부자의 『책치부』가 내사본, 조선목판, 조선활자, 당판 등으로 세밀하게 표기하고 있는 것에 비하여 본서는 중국본 외에는 아무런 기재가 되어있지 않다는 것이다. 셋째, 선행 연구에서 다룬 배삼익·배용길 부자의 『冊置簿』와의 비교를 통해 16세기 영남 명문가 장서의 규모 및 성격을 보다 입체적으로 고찰하는 데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는 퇴계와 그의 直傳弟子를 중심으로 한 영남 서적 문화의 핵심을 살펴보는 데 일조하리라 생각한다. 현재에도 종택에 주요 전적과 고문서가 상당량 남아있지만 그 서적목록은 없었기에 본서의 발굴은 鶴峯家의 현존 전적과의 대조를 통해서도 큰 가치가 있다.

영문 초록

Surviving records of private book collections from early Joseon are strikingly scarce. Representative evidence to date comprises: (1) a single surviving leaf listing books from the Hoejae household’s Dongnakdang (獨樂堂); (2) references embedded in Yi Mun-geon’s Mukjae ilgi (默齋日記) and Yu Hui-chun’s Miam ilgi (眉庵日記); and (3) the Chaekchibu (冊置簿) compiled in 1586 by Bae Sam-ik (裵三益) and his son Bae Yong-gil (裵龍吉). Among these, the Bae family Chaekchibu has long been regarded as the only extant early-Joseon private library catalogue of substantial length and coherent structure. In earlier work, I partially reconstructed the holdings of Kim Yeon (金緣) and his son Kim Bu-ui (金富儀) from surviving volumes and compared them with the Bae family Chaekchibu to gauge the size and profile of early-Joseon collectors’ libraries. Building on that line of inquiry, this study identifies, within the hol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 one-volume Chaekchibu dated 1588 that documents the private library of Hakbong Kim Seong-il (鶴峯 金誠一, 1538-1593). Close examination of this newly surfaced Chaekchibu yields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I introduce the catalogue to scholarship for the first time, establish Hakbong Kim Seong-il as its compiler, and clarify its transmission: the autograph once owned by Shirakami Jukichi (白神壽吉) is now untraced; the extant copy is a colonial-era transcription that passed through the Joseonsa Pyeonsuhoe before entering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Second, across eight folios the list records 146 titles in 998 volumes. Although the entries were not originally organised by class, retrofitting them to the fourfold scheme (經/史/子/集; gyeong/sa/ja/jip) yields: gyeong 32 titles / 248 vols.; sa 20 / 316; ja 48 / 178; jip 46 / 256. Works identified as Chinese editions are flagged as dangbon or dangpan (seven titles in total, including Geunsarok 近思錄). The catalogue also notes borrowers of certain books and—on one occasion—the original owner of a borrowed item. Dots above some titles most likely function as collation marks against physical copies. Unlike the Bae family Chaekchibu, which specifies formats such as naesabon (palace edition), Joseon woodblock (Joseon mokpan), Joseon movable type (Joseon hwalja), and dangpan, the Hakbong list records only Chinese editions and otherwise omits format details. Third, placing the Hakbong Chaekchibu alongside the Bae family catalogue affords a more three-dimensional picture of the scale and character of elite Yeongnam libraries in the sixteenth century. This, in turn,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Yeongnam book culture centred on Toegye and his jikjeon jeja (direct disciples). Although substantial books and documents survive today in the Hakbong lineage house, no historical catalogue was previously known; the present discovery therefore provides a valuable basis for cross-checking the family’s extant holdings.

목차

1. 서론
2. 鶴峯 金誠一 『冊置簿』의 전래
3. 『冊置簿』의 기재 양식
4. 『冊置簿』와 퇴계 학파의 장서 문화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榮鎭(Young-jin Kim),王微笑(Weixiao Wang). (2025).鶴峯 金誠一 『冊置簿』에 대한 小攷. 대동한문학, (), 133-156

MLA

金榮鎭(Young-jin Kim),王微笑(Weixiao Wang). "鶴峯 金誠一 『冊置簿』에 대한 小攷." 대동한문학, (2025): 133-15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