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ina and North Africa in the Multipolar Era: An Analysis of Foreign Policy and Cooperation
- 발행기관
-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 저자명
- 한새롬(Saerom Han)
- 간행물 정보
- 『중동문제연구』제24권2호, 31~6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극화 시대 국제질서 변화 속에서 중국과 북아프리카 협력관계가 어떻게 형성되고 수행되는지를 역할 이론(role theory)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집트와 튀니지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중국의 외교적 위상이 단순히 중국의 의지, 능력 및 전략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역내 정권의 역할 기대, 정당화 담론, 그리고 대중의 인식과 반응을 통해 상호 구성적으로 형성됨을 보여준다. 특히 2023년 가자 전쟁을 계기로 분출된 대중의 반응은 청중이 단순한 수동적 수용자가 아니라 외교적 역할 수행의 정당성을 구성하고 조정하는 행위자임을 지적한다. 본고는 중국-북아프리카 관계 및 역할 이론 연구를 기반으로 다극화가 심화되는 국제사회에서의 중국의 외교 역할 수행이 국가와 청중, 엘리트와 민중의 상호작용 속에서 동적으로 형성됨을 강조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China-North Africa relationships through the lens of role theory, highlighting how China’s role conceptions and performances are co-constructed by regional regimes and public audiences in the context of an emerging multipolar order. Drawing on the cases of Egypt and Tunisia, the article argues that China’s presence in the region is not simply a result of strategic projection from Beijing but is also shaped by the expectations, legitimizing discourses, and strategic role-assignments of local actors. In particular, the 2023 Gaza War context rendered public audiences as active contributors to the discursive construction and legitimation of China’s diplomatic role. The findings contribute to studies on China-North Africa relations and role theory by discussing how diplomatic roles are shaped by the dynamic interplay between elites and grassroots, state strategies and popular reception under the evolving conditions of multipolarity.
목차
Ⅰ. 서론
Ⅱ. 역할 이론과 중국의 외교정책
Ⅲ. 이집트 정권의 대 중국 전략과 이해관계
Ⅳ. 튀니지 정권의 대 중국 전략과 이해관계
Ⅴ. 가자전쟁과 청중
Ⅵ.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