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영방송 콘텐츠 기반 교양교육혁신 모델 연구 - 운영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an Innovative Liberal Arts Education Model Based on Public Broadcasting Content : Focusing on Operational Improvement Cases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박수민(Soomin Park)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69~18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걸친 실제 운영 사례를 바탕으로 디지털 시대 교양교육혁신 모델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A대학에서 2024년 1학기부터 2025년 1학기까지 총 30개의 공영방송 콘텐츠 기반 교양 교과목을개발·운영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개발 과정에서는 순환적 개선 기반의 반복적·점진적 개발 모델을 적용하여, EBS가 제공한 8,330개콘텐츠 중 764개를 선별하고 체계적인 교과목 설계 프레임워크를 구축하였다. 운영 과정에서는 3단계사이클(콘텐츠 중심형 → 상호작용 강화형 → 통합적 자기주도 촉진형)을 거쳐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참여와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하는 혁신적 교양교육 모델로 발전시켰다. 연구 결과, 2024-1학기 대비 2025-1학기 수강생 규모가 약 2.2배 증가하였으며, 학습자 만족도는전 항목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구체적 사례분석을 통해 질문 중심의 탐구형 구성, 교과-비교과연계, 다층적 상호작용 강화 등 교수설계의 질적 개선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성과는 제한된 자원 환경에서도 양질의 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실질적 대안으로서, 공영방송콘텐츠 기반 교양교육의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며, 기존 원격대학과 차별화되는 블렌디드 러닝중심의 혁신적 교육 모델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effective design and operation strategies for liberal arts courses utilizing public broadcasting content, based on actual operational cases over three academic semesters. To this end,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30 public broadcasting content-based liberal arts courses developed and implemented at University A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24 to the first semester of 2025. In the development process, a cyclical improvement-based, iterative, and incremental development model was applied. A total of 764 items were selected from the 8,330 educational contents provided by EBS, and a systematic course design framework was established. In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model evolved through a three-stage cycle—content-centered → interaction-enhanced → integrated self-directed learning facilitation—fostering active learner particip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s an innovative liberal arts educati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first semester of 2024, th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in the first semester of 2025 increased by approximately 2.2 times, and student satisfaction improved significantly across all categories. Detailed case analysis confirmed qualitative improvements in instructional design, including inquiry-centered composition, linkage betwee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reinforcement of multi-layered interactions. These achievements empirically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public broadcasting content-based liberal arts education as a practical alternative for delivering high-quality education even in resource-constrained environments, and propose a blended learning-centered innovative education model that differentiates itself from existing distance universities.

목차

1. 서론
2. 교양교육과 공영방송 콘텐츠 활용에 관한 고찰
3. 공영방송 콘텐츠 기반 교양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수민(Soomin Park). (2025).공영방송 콘텐츠 기반 교양교육혁신 모델 연구 - 운영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9 (4), 169-188

MLA

박수민(Soomin Park). "공영방송 콘텐츠 기반 교양교육혁신 모델 연구 - 운영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9.4(2025): 169-18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