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Generative AI Usage in EFL Academic Writing Classes at a Korean University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앤드류 리차드스(Andrew Richards) 스튜어트 존스(Stuart Jones)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41~15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한 대학교에서 진행된 EFL(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문적 글쓰기 수업에서 생성형 AI의 활용에대해 기술 수용 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의 원리를 적용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해당 수업에 등록된 111명의참여자로부터 양적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일부 과제에 포함된 단답형 질문을 통해 질적 데이터도 수집되었다. 수집된 양적 데이터는 기술 통계 및 추론 통계를 통해 분석되었고, 질적 응답은 주제 분석을 기반으로 한 질적 분석을 통해해석되었다. 전체 분석이 완료된 후에는 TAM과 관련된 패턴과 경향을 식별하기 위해 총체적 검토가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이 맥락의 학생들은 생성형 AI를 자주 사용하고 있으며, 이를 유용하고 사용하기 쉽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으며, 두구성요소 간에는 중간 정도의 강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종종 사회적 요인(또래의 사용, 교수자의지지, 신뢰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감정적 요인(죄책감, 즐거움 등)도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유형의 수업이 향후 대체될 것인지에 대한 학생들의 의사는 여전히 불확실하지만, 이 기술이 학습 도구로서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인식은 분명히 존재한다. 행정적 및 교육적 시사점도 함께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d the principl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o the use of generative AI in EFL academic writing courses at a Korean university. Quantitative data was collected from 111 participants through the use of a questionnaire. In addition, qualitative data was gathered through the use of a limited number of short answers questions which were included as part of the participants' homework assignments. Quantitative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use of both inferential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qualitative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thematic review. Both sets of data were examined holistically to identify patterns and trends in relation to the TAM. The results indicate participants use generative AI frequently, and they feel it is both useful and easy to use with a moderately strong correlation between both constructs. However, this is often dependent on certain societal elements (peer usage; validation from instructors; trust). Furthermore, certain emotive factors (guilt; pleasure) can also be influential. Finally, the desire for generative AI to replace these types of courses in the future remains unclear despite an overall perception that this technology is going play an ever-increasing role in this educational context. Administration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6. Limitations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