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ranslating Gyoyang Beyond Semantic Entropy in Korean Higher Education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박홍준(Hong-June Park)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15~14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한국 고등교육의 근본적 이상(理想)인 교양(敎養)은 지적, 윤리적, 사회적, 학제적 및 문화적 발전을 종합적으로 추구함으로써균형 잡힌 인격체를 양성하고자 하는 교육적 개념이다. 한국어로는 하나의 용어로 표현되는 이 교양 개념이 영어로 번역될때에는, “General Education,” “Liberal Arts,” “Liberal Education,” “Core Curriculum”과 같이 유사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는여러 용어로 분산되며, 어느 하나도 교양이 지닌 문화적이고 다차원적인 의미를 온전히 담아내지 못한다. 얼핏 보면 이러한번역어의 증가는 언어 간 문화적 개념 이동 과정에서 개념적 응집력이 점진적으로 약화되는, 즉 필자가 섀넌(Shannon, 1948)의정보이론 엔트로피 개념을 확장해 정의한 ‘의미론적 엔트로피(semantic entropy)’로 인한 혼란을 초래하는 듯하다. 그러나역설적이게도 한국의 교육자들은 전략적으로 여러 가지 번역어를 활용하고, 기관적 내러티브, 해설적 주석, 이중 언어 교육과정체계 등을 통해 이러한 개념적 혼란을 적극적으로 해소한다. 이들은 일종의 ‘문화적 엔트로피 관리자(cultural entropy managers)’ 로서 교양의 문화적 응집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며, 국내외의 모든 대상에게 교양의 핵심적 정체성을 명확히 전달하고자노력한다. 이 글은 정량적 어휘 분포 모델링(제안된 문화적 엔트로피 공식 적용)과 제도적 실천, 교수법적 개입, 한국 및미국의 대학 강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질적 분석, 그리고 한국의 한 대학에서 수행한 국제 교환학생 대상의 민족지학적인터뷰 자료를 결합한 혼합 방법론을 통해, 한국 대학들이 의미론적 엔트로피를 넘어 교양 개념의 문화적 본질을 보존하고심화시키는 방식을 밝힌다. 특히 이 연구는 영어로 수행되고 제시됨으로써, 영어가 주요 교수 언어가 아닌 학술 환경에서문화적으로 내재된 교육 개념이 언어적 경계를 넘어 전달될 때 발생하는 복합적 역학을 밝히고, 비영어권 교육자들 간의국제적 학술 교류와 담론을 촉진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Gyoyang, a foundational ideal in Korean higher education, refers to comprehensive intellectual, ethical, social, interdisciplinary, and cultural development intended to cultivate well-rounded individuals. Although represented by a single term in Korean, gyoyang corresponds roughly—and inadequately—to various English expressions, such as “General Education,” “Liberal Arts,” “Liberal Education,” and “Core Curriculum,” none of which fully captures its culturally embedded nuances. The proliferation of these translations might initially suggest a chaotic increase in semantic entropy—defined here, following Shannon (1948), as the progressive erosion of conceptual coherence when culturally rich terms cross linguistic boundaries. Paradoxically, however, Korean educators counteract this semantic disorder by strategically employing multiple translations, institutional narratives, explanatory glosses, and bilingual curricular frameworks. Acting as “cultural entropy managers,” they reinforce and clarify gyoyang’s cultural coherence, strengthening its core identity for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audiences. Through a mixed-methods analysis combining quantitative lexical distribution modeling (using a proposed cultural entropy formula) with qualitative analysis of institutional practices, pedagogical interventions, ethnographic interviews with international students at a Korean university, and positionality informed by teaching experience in Korean and American contexts, this study reveals how Korean universities mitigate semantic entropy to preserve and deepen gyoyang’s cultural integrity. By rendering this analysis in English, the article aims to illuminate the intricate dynamics involved in conveying culturally embedded educational concepts across linguistic boundaries, especially within academic contexts where English operates as a secondary rather than primary medium.
목차
1. The Core Problem: One Korean Term, Many English Translations
2. Methodology
3. An Empirical Overview of Core Curriculum Lexicons
4. Cultural Entropy Minimization: A Pragmatic Lens
5. Specific, Concrete Strategies in the Korean Classroom and Beyond
6. Extended Cultural Entropy Formula
7. Educational Implications
8. Concluding Remark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