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asks and Strategies for the Advancing General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University College Faculty Perspectives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신동은(Dong Eun Shin) 윤영순(Young Soon Youn)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9권 제4호, 55~7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양교육의 발전이 졸업생들의 장기적인 고용가능성을 증진하고 직업교육의 질적 고도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전제에서 전문대학 교원의 <전문대학 교양교육 권고안>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발전 과제를 도출하였다. 86명 교원의 설문조사와 7명 전문가 인터뷰 결과, 전문대학 교원들은 전문대학과 일반대학의 교양교육 목적은 동일한 것이라고 주장하는 권고안의 입장에 높은 수준으로 동의하는동시에 전문대학 교양교육은 직업교육을 위주로 하는 기관의 특수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을 표명하였다. 향후 확대되어야 할 교양교육 영역은 기초문해 교과와 자유학예 영역이며, 일반대학의 학사학위와달리 전문대학의 교양교육은 전문학사-전공심화학사학위과정으로 연계된 계속교육 과정에 통합적, 계열적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고 평가하였다. 연구자들은 프로그램의 지향(학문지향 또는 직업지향)을불문하고 현대사회의 필수 핵심역량을 강조하는 일반교양교육의 취지에 부응하여 전문대학은 교양교육의 내재적 가치에 집중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는 정책적 수단을 활용하여 전문대학 교양교육에 대한질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advance of general education can enhance the long-term employability of graduat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echnica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erceptions of general education among university college(junmundaehak) faculty, and drew tasks and strategies for its development. The research methods for this study consist of survey(n=86) and focus group interview(n=7).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aculty members of university college highly agreed with the recommendation that the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junmundaehak is the same, but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junmundaehak that focus on technical education should be reflected on the general education. The areas of general education that should be expanded in the future are literacy related courses and liberal arts and science curriculum, a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tinuing education structure of technical education, which consists of occupational associate degree and bachelor of applied science, and to organize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an integrated and sequential manner in both courses. The researchers pointed out that junmundaehak needs to focus on the intrinsic value of general education in response to the purpose of general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essential learning outcomes of modern society for all students, regardless of program orientation (academic or vocational), and that the government should use policy measures to provide qualitative guidelines for general education in junmundaehak.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분석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