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헌영의 생애와 독립운동

이용수 0

영문명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Life of Cho Heon-young, Doctor of Korean Medicine
발행기관
바른역사학술원
저자명
정상규(Sanggyu Jung)
간행물 정보
『역사와 융합』제27호, 433~478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 민족운동의 대표적 인물이자 한의학 분야의 큰 발전을 기여한 조헌영의 생애를 독립운동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의병가문 출신으로 와세다대학교에서 유학한 조헌영은 재일본 조선유학생 학우회장, 신간회 도쿄지회 초대 지회장, 조선어학회 운동, 창씨개명 거부 등 오랜 기간 항일운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했고, 해방 이후 제헌의원 및 제2대 국회의원으로 활동하며 반민특위 활동 및 대한민국 건국에 이바지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기존에 주로 한의학사 분야에서 ‘한의사’로 다뤄져 온 조헌영을 ‘독립운동가’ 관점에서 건국에 기여한 조헌영으로 재조명함으로써 연구의 지평을 확장한 데 있다. 선행연구를 모두 살펴본 결과, 한의사로서의 조헌영에 대한 의학 사상과 임상연구는 잘 정립되어 있으나 오히려 그것이 오직 한의학사 분야에서만 조헌영이 거론되게 만들었다. 또한 전통의학 계열 독립운동가는 근대의학 계열 독립운동가와 비교하여 그 공적과 생애에 관한 통계가 학회 및 협회 차원에서 잘 정립되어 있지 않은 현실이다. 따라서 전통의학 계열 독립운동가를 더 많이 발굴하고 대중적으로 인식시키는 데 미약하나마 기여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조헌영이 정치, 학문, 문화적 영역을 넘나들며 민족의 독립과 문화적 자긍심을 위해 헌신한 지식인의 전형이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of Cho Heon-you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focusing on his role 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Korean national movem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ost-liberation era, as well as his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Born into a righteous army family and educated at Waseda University, Cho Heon-young consistently participated in anti-Japanese activities over an extended period, serving as president of the Korean Students Association in Japan, founding president of the Tokyo branch of the Singan-hoe, participating in the Korean Language Society movement, and refusing to adopt Japanese names (sōshi-kaimei). After liberation, he contributed to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by serving as a member of the Constitutional Assembly and the second National Assembly, while also participating in the Special Committee for the Investigation of Anti-National Activ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expanding the scholarly horizon by reexamining Cho Heon-young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contributed to nation-building, rather than merely as a “traditional medicine practitioner” as he has been primarily treated in the field of traditional Korean medical history. A comprehensive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reveals that while research on Cho Heon-young's medical philosophy and clinical practice as a traditional Korean medicine doctor is well-established, this has paradoxically limited scholarly discussion of Cho Heon-young to the field of traditional medical history alone. Furthermore, compared to independence activists from modern medical backgrounds, traditional medicine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independence movements lack well-documented statistics regarding their achievements and life histories at the academic and professional association level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albeit modestly, to discovering more traditional medicine practitioners involved in independence movements and promoting public awareness of their contributions. This research aims to demonstrate that Cho Heon-young was an exemplary intellectual who dedicated himself to national independence and cultural pride,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political, academic, and cultural spheres throughout his lifetime.

목차

1. 머리말
2. 독립운동가 조헌영의 생애
3. 해방이후의 삶
4. 인식되지 못한 애국지사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여강출판사
  • 들녘
  • 돌베게
  • 독립기념관독립운동사연구소
  • 도서출판모시는사람들
  • 도서출판모시는사람들
  • 지훈문학관 해설
  • 東洋醫藥社
  • 행림서원
  • 민족문제연구소
  • 대통령소속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위원회
  • 의사학
  •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한국의사학회지
  • 한국의사학회지
  • 이화젠더법학
  • 민족21
  • 한국의사학회지
  • 신동아
  • 한국근현대사연구
  • 한국정치외교수논총
  • 역사교육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론 42: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사의 전개
  • 종교연구
  • 의사학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한국과학사학회지
  • 대한한의학회지
  • 한국사회사학회 논문집
  • 한국의사학회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상규(Sanggyu Jung). (2025).조헌영의 생애와 독립운동. 역사와 융합, (), 433-478

MLA

정상규(Sanggyu Jung). "조헌영의 생애와 독립운동." 역사와 융합, (2025): 433-47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