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ducational Research to Improve Basic Digital Skills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Non-curricular Information Technology Programs
- 발행기관
- 바른역사학술원
- 저자명
- 강현선(Hyunsun Kang)
- 간행물 정보
- 『역사와 융합』제27호, 381~40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정보기술 교육에 관한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디지털 사회를 이끌어 나갈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초· 중·고 교육은 물론 대학 교육에 이르기까지 정보기술 교육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대학의 정보기술 교육은 전공에서는 다양한 전공과의 융합 교과가생성되고 있으며, 교양 교육은 컴퓨팅사고 과목을 기본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춰 신기술에 대한 과목으로 점점 심화되는 추세이다. 신입생들이전공과 융합된 정보기술 과목과 심도 있는 교양의 정보기술 과목을 효율적으로 수강하기 위해서는 정보기술 기초소양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정보사회의 기본 능력인 디지털 기초소양이 부족한 학생을 대상으로 해당 기초소양 향상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대학의 정보기술 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학생들에게 이와 관련된 기술을습득시키고 그 변화에 창의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기술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As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pproaches, interest in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has been focused worldwide, and interest in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has increased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to university education in order to foster talents who will lead the digital society.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in universities is creating various convergence subjects with majors, and liberal arts education is gradually deepening into subjects on new technologies in line with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subjects. Basic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for freshmen to efficiently take information technology subjects converged with their majors and in-depth liberal arts information technology subjec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non-curricular program to improve basic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for students who lack basic information technology literacy, a basic abil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proposes a non-curricular program related to information technology that allows students to acquire information technology and creatively adapt to changes.
목차
1. 머리말
2. 정보기술 교육 동향
3. 정보기술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4. 프로그램 운영 및 결과
5.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