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ypology of Subjectivity on Fundamental Sports Rights and Priority Values of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김수겸(Soo Kyum Kim) 명왕성(Wangsung Myung)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6권 제3호, 121~13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들이 인식하는 스포츠기본권과 그 우선적 가치를 유형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여 통합축구에 참여하는 발달장애인 성인 남성 25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파트너(비장애인) 선수와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Q-분류작업을 수행하였다. Q-요인분석 결과, 발달장애인이 수용한 스포츠기본권의 우선적 가치는 ‘유형Ⅰ: 시설-인프라 중시형’, ‘유형Ⅱ: 행정-법제도 중시형’, ‘유형Ⅲ: 안전-편의성 중시형’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의 스포츠기본권을 보장하기 위해 거시적으로는 시설 및 인프라 확충, 법·제도적기반 강화를 논의하였고, 참여자 개인적 수준에서는 안전 및 편의성, 이동(교통)권에 대한 세심한 관심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the types of subjectivity regarding the fundamental sports rights and priority values as perceived by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Q methodology was adopted as the analytical framework. A P sample of 25 adult mal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ll of whom participated in unified football programs, was selected. The Q-sorting process was conducted with the assistance of partner players (non-disabled individuals) and guardians. The results of the Q-factor analysis revealed three distinct types of priority values attributed to fundamental sports rights: ‘Type I: Emphasis on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Type II: Emphasis on Administrative and Legal Systems’; and ‘Type III: Emphasis on Safety and Accessibility’. In conclusion,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macro-level support such as the expansion of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and the reinforcement of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At the individual level, i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nsuring safety, convenience, and transportation rights to guarantee the fundamental sports rights of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