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립준비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검증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s care leaver’s depression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이승우(Seung Woo Lee) 남재성(Jae Sung Nam)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45호, 331~34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 사회에서는 여전히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부족하고 제반 지원정책과 보호제도가 미흡해 이들이 사회에 홀로 서는 과정에서 극심한 사회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우울 등 다양한 유형의 심리적・정서적 문제에 봉착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203년 서울시여성가족재단에서 실시한 ‘서울시 자립준비 청년 지원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의 2차 자료를 활용하여 자립준비청년이 직면하고 있는 현실적 어려움을 분석하고 그들의 삶의 질, 나아가 생명과도 직결될 수 있는 우울이라는 심리적・정서적 문제점에 있어 과연 어떠한 요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자립준비청년의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신체적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사회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신체적 요인 가운데서도 건강상태가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적 요인에서는 사회적 친분관계와 차별인식이, 그리고 경제적 요인에서는 기초생활수급자 여부가 우울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립준비청년의 우울과 같은 심리적・정서적 문제 유발요인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이들이 보다 원활하게 우리 사회에 적응하여 정상적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첫째, 자립준비청년의 신체 건강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의료적 지원체계를 확대하고 둘째,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사회적 지지체계를 강화하며 셋째,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그릇된 사회적 인식을 해소함과 동시에 넷째, 열악한 경제적 환경에 처한 자립준비청년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현실적 여건에 맞게 확대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Korean society, there remains a significant lack of public awareness and institutional support for care leavers, leading many of them to face severe socio-economic hardships and variou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llenges such as depression during their transition to independent adulthood. In response to this issue, this study utilizes secondary data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Basic Plan to Support Care Leavers in Seoul” research project, conducted by the Seoul Foundation of Women and Family in 2023. This empirical analysis aims to verify the real-lif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are leavers and to examine the key determinant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particularly focusing on depression, which is closely tied to their overall quality of life and, potentially, their survival. The findings reveal that physical factors affect the most substantial influence on depression among care leavers, followed by social and economic factors. Among physical factors, self-rated health status was suggeste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depression. In terms of social factors, the presence of personal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emerged as significant. While within the economic domain, the status of Welfare recipient was a major contributing factor.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directions to mitigat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risk factors, such as depression, among care leavers, thereby facilitating their smoother social integration and development as independent members of society: First, expansion of medical support systems to address health-related vulnerabilities, Second, enhancement of social support networks for care leavers, Third, efforts to eliminate societal prejudice and stigma, and Forth, realistic reinforcement of economic support measures for those in financially disadvantaged circumstan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우(Seung Woo Lee),남재성(Jae Sung Nam). (2025).자립준비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검증. 안전문화연구, (), 331-349

MLA

이승우(Seung Woo Lee),남재성(Jae Sung Nam). "자립준비청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검증." 안전문화연구, (2025): 331-34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